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방카 25%룰 완화에 보험업계 ‘스탠바이’…중소형 소외는 우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19 08:12

금융당국, ‘방카 25%룰’ 완화 예고
법 개정 등 제도화에 업계 대비 예상

방카 판매 채널 의존도 갈수록 높아져
중소형사 소외·보험료 증가엔 우려

은행 창구에서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방카' 채널에서 특정 보험사 상품 판매 비중 제한이 현행 25%에서 최대 75%까지 확대된다.

▲은행 창구에서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방카' 채널에서 특정 보험사 상품 판매 비중 제한이 현행 25%에서 최대 75%까지 확대된다.

방카슈랑스(방카) 판매 규제, 이른바 '방카 25%룰'의 완화를 앞두고 보험업계가 공격적인 영업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다만 경쟁 격화가 예고됨에 따라 대형사 쏠림 현상이나 소비자 보험료 증가 등은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다.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은행 창구에서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방카' 채널에서 특정 보험사 상품 판매 비중 제한이 현행 25%에서 최대 75%까지 확대된다. 관련 규제 도입 후 19년 만에 완화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6일 정례회의에서 KB국민은행 등 43개사의 '금융기관 보험대리점에서 보험상품 모집 시 적용되는 판매 비중 규제 개선'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했다.


이에 은행(방카슈랑스), 카드사(카드슈랑스), 증권사 등이 보험대리점으로서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금융기관 보험대리점'에서 특정 보험사 판매 비중 규제가 크게 완화된다. 생명보험은 33%, 손해보험은 업권별로 50%~75%까지 규제 비율을 낮아진다.


보험업권은 방카 채널 확대에 본격적으로 대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국은 이번 혁신금융서비스 운영 후 내년에 적용할 판매 비중을 올해 말 경 결정할 방침이다. 이는 법 개정 등 제도화로 이어질 수 있어 업계로선 시장 선점이 중요해진 시점이다.




업계는 현재도 방카 채널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생보업계가 방카 채널을 통해 16조1165억원의 초회보험료를 거둬들였다. 전체 초회보험료(23조1845억원)의 69.5%로 높은 비중이다.


생보업계 초회보험료 수입은 전년 대비 4조215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방카 채널이 4조4150억원 늘었다. 사이버마케팅(CM) 채널 등이 약화된 반면 방카에서의 판매가 늘며 방카의 판매 채널 의존도가 1년 전(61.7%)대비 크게 올라갔다.


방카슈랑스(방카) 판매 규제, 이른바 '방카 25%룰'의 완화를 앞두고 보험업계가 공격적인 영업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방카슈랑스(방카) 판매 규제, 이른바 '방카 25%룰'의 완화를 앞두고 보험업계가 공격적인 영업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방카 채널은 생보사 전체 22곳 중 20곳이 참여 중으로, 저출산 및 고령화로 종신보험 수요가 둔화된 환경에서 연금 등 저축성 보험 판매를 끌어올릴 수 있는 주요 창구로 꼽힌다. 은행 등 채널이 예적금 만기 고객이나 퇴직자 등 자금운용 수요가 있는 고객들을 주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규제 완화를 기점으로 방카는 대형사와 중소형사를 가리지 않고 전체 생보사들의 새로운 격전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생명의 2023년 방카 일시납 보험료는 4조17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6배 이상 증가했다. 방카 채널을 적극 활용한 KB라이프생명은 전년보다 9배 이상 뛴 1조309억원의 보험료를 올렸다.


한편, 생보업계 내에선 경쟁 격화 시 자본력과 브랜드파워가 있는 대형사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흘러나온다. 한화생명, 삼성생명, 교보생명 등 '톱3' 생보사들은 앞서 방카 채널 내 대규모 초회보험료를 올려 업계 성장을 주도해왔다.


중소형사의 경우 높은 은행 수수료로 자칫 수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무리한 수수료 경쟁에 나설 경우 대형사는 이를 감당할 체력이 되지만, 중소형사는 상대적으로 자본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은행의 입김을 기대하기 위해 리베이트 성격의 마케팅 비용도 추가적인 부담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저축성보험 위주 판매가 이뤄지기에 중소형사는 유지율 저하에도 대비해야 한다. 저축성 상품의 2년 유지율은 47.8%로 업계 최저다. 아울러 새 회계제도(IFRS17) 아래 저축성보험은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어, 동시에 보장성보험으로 포트폴리오를 전환해야 하는 에너지도 경영상 고민거리가 된다. 이런 방카 채널의 단점들이 중소형 생보사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선 보험사들의 경쟁 심화가 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소비자 보험료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예견도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방카에서 주로 판매하는 저축성보험과 연금보험은 보험료 규모가 커 생보사 자산 형성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에 회사들로선 수익성에 있어 좋은 기회"라면서도 “경쟁 과열에 따른 보험회사 간 균형성장 저해나 보험료 증가 등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