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페이팔 마피아의 경고…“AI 거품 곧 터질 수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16 17:26
TECH-DEFENCE/AI

▲(사진=로이터/연합)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 열기가 역사상 가장 큰 거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페이팔 마피아'의 일원에게서 나왔다. AI 거품이 터질 경우 관련 스타트업들이 줄줄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페이팔 마피아의 일원이자 미국 벤처캐피탈 AZ-VC의 창업자인 잭 셀비는 16일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소비자들은 실제 비용의 몇 푼에 불과한 가격으로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익숙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 서비스가) 언제가는 원가에 맞춰 가격이 책정돼야 하고, 일정 수준의 마진도 붙을 수 밖에 없다"며 “아직은 그 시기가 아니지만 곧 도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처럼 저렴한 비용으로는 서비스를 유지하기 어려운 만큼, 기업들이 향후 가격을 올릴 경우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셀비는 또 “혁신적인 차세대 AI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기업들에 수십억 달러의 벤처 자금이 쏟아지고 있지만, 수익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 가치가 지나치게 높게 책정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전 세계적으로 크고 작은 AI 기업들이 넘쳐나는 모습은 25년 전 닷컴 버블과 유사하다"며 “거품이 꺼질 경우 수많은 기업들이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수백억, 혹은 수천억 달러의 투자 자금이 말 그대로 증발할 수 있다"며 “AI 나무들이 하늘까지 뻗을 것이란 숨 막히는 내러티브가 넘쳐난다. 일찍 뛰어들었다면 환상적이겠지만 지금 투잔하다면 확신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기업들의 수익화 전략력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 밸류에이션이 급등함에 따라 AI 투자자들에게 고통이 따를 수 있다고 경고한 테크 업계의 대열에 셀비도 합류했다"고 전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인터뷰에서 15초의 발언 중 거품이라는 단어를 세 차례 언급하면서 “투자자들이 AI에 과도하게 흥분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한 바 있다. 미 매사추세츠공대(MIT)는 생성형 AI에 투자한 기업의 95%가 수익을 내지 못했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페이팔 마피아는 1990년대 후반 설립된 온라인 결제(전자지갑) 업체 페이팔을 이끌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공동 창업자 피터 틸, 리드 호프먼 전 페이팔 부사장, 데이비드 색스 전 페이팔 최고운영책임자(COO) 등을 가리킨다. 이들은 스타트업 창업과 투자를 주도하는 등 실리콘밸리 생태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