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권대경

kwondk213@ekn.kr

권대경기자 기사모음




이달 대미 수출 14.3% ↓…관세부과 후폭풍 밀려온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21 09:30

관세청 이달 20일까지 수출 5.2% 줄어, 무역수지 1억 달러 적자

미국 상호관세 발효, 수출 영향은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달 중순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5%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10개 품목 가운데 반도체를 제외한 나머지 9개에서 수출이 줄었고 지역별로는 대미 수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수출액은 339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2%(18억7000만 달러) 감소했다. 이달 20일까지 조업일수는 15.5일로 작년과 같았다.


월간 수출액은 지난달까지 두 달간 증가 흐름을 이어왔다. 올해 1월에는 설 연휴 등 영향으로 감소하며 그동안 15개월 증가 추세에 제동이 걸렸다.


주요 10개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10.7%)는 증가했지만 승용차(-6.5%), 석유제품(-22.0%) 등 나머지 9개 품목은 모두 감소했다.


특히 국가별로 미국으로 수출이 14.3% 줄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관세청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무분별한 관세 부과 영향으로 수출이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이 우리나라에 적용하기로 한 상호관세율은 25%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현재 일부 품목에 기본 관세 10%만 적용된 상태다.


이외에 다른 국가들을 보면 중국(-3.4%), 베트남(-0.2%) 등으로 수출도 줄었다. 유럽연합(EU·13.8%), 대만(22.0%) 등으로 수출은 늘었다.


4월 월말까지의 전망에 대해 관세청 관계자는 “월말로 갈수록 수출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월간 기준으로도 감소세가 계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수입액은 340억 달러로 11.8%(45억7000만 달러) 줄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장비(9.8%), 정밀기기(2.9%) 등에서 늘었고 원유(-29.5%), 반도체(-2.0%) 등은 줄었다.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은 27.9%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일본(3.2%), 베트남(6.3%) 등으로부터 수입이 증가했고 중국(-7.6%), 미국(-10.1%), EU(-17.3%) 등은 감소했다.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