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B손해보험.
DB손해보험이 다올투자증권 지분 9.73%를 취득해 2대 주주로 등극하면서 향후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DB손해보험은 DB증권, DB자산운용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는데, 타 증권사 지분을 인수한 것은 이례적이기 때문이다. DB손해보험은 “일반투자 목적"이라며 말을 아꼈지만, 시장 안팎에서는 이 회사가 메리츠화재, 메리츠증권을 기반으로 고속 성장을 이룬 메리츠금융그룹 모델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자산운용 계열사 있는데...다올 지분 취득 '이례적'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DB손해보험은 다올투자증권 지분 9.73%(592만3990주)를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로 매수했다. 취득단가는 주당 3900원으로, 총 231억원이다. DB손해보험은 다올투자증권 보유목적을 '일반투자'라고 밝혔다. 일반투자는 통상 경영권이나 경영참여 의도가 없는 단순투자를 의미한다.
DB손해보험이 이번에 취득한 물량은 기존 2대주주인 김기수 전 프레스토투자자문 대표가 보유한 다올투자증권 지분이다. 이번 지분 취득으로 김기수 대표의 다올투자증권 지분율은 4.62%로 축소됐다. 최대주주인 이병철 다올투자증권 회장과 특수관계인은 작년 말 기준 다올투자증권 지분 25.06%를 보유 중이고, 3대 주주인 세코그룹은 오투저축은행, 흥국저축은행, 인베스터유나이티드를 통해 다올투자증권 지분 9.35%를 들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DB손해보험의 다올투자증권 지분 인수에 대해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통상 금융사(보험사)가 다른 금융사 지분을 인수하면 단순투자를 넘어 자산운용 역량 강화, 운용채널 다각화, 대체투자 발굴 등의 시너지를 노릴 수 있지만, DB손해보험의 사례는 석연치 않다는 분석이다.

▲다올투자증권.
그 배경에는 DB손해보험이 현재 DB증권(25.08%), DB생명(99.23%·의결권 지분율 기준), DB캐피탈(93.57%) 등의 지분을 보유하며 사실상 DB그룹의 금융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 DB손보가 굳이 200억원의 자금을 들여 다른 증권사 지분을 인수하기에는 투자나 시너지 측면에서 효과가 크지 않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실제 DB증권은 계속해서 기업가치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작년 11월 DB자산운용을 100% 완전자회사로 편입했으며, 이달 1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유로 사명을 기존 DB금융투자에서 DB증권으로 변경했다. DB증권은 작년 말 기준 자기자본 9425억원, 다올투자증권 7011억원으로 각각 증권가 21위, 25위에 해당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증권사 규모를 키우는 게 목적이라면, 소형 증권사가 대형 증권사를 인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렇게 인수해야만 자기자본을 활용한 레버리지 비즈니스를 영위할 수 있다"며 “다올, DB증권 모두 소형 증권사이기 때문에 (DB그룹 차원에서 봐도) 시너지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표면적인 이유 외에 예를 들어 다올금융, DB금융그룹 오너일가가 연이 있다거나, 혹은 다른 주주 간에 니즈가 맞아 특수한 목적으로 주식을 사들였다거나 등의 다른 목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보험-증권' 메리츠금융그룹 모델 지향 관측
투자은행(IB) 업계 안팎에서는 DB손해보험이 중장기적으로 메리츠금융그룹의 모델을 지향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메리츠금융지주는 메리츠화재, 메리츠증권을 중심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IB 업계 관계자는 “메리츠금융은 메리츠증권이 딜 소싱(거래 발굴)을 하면 메리츠화재, 메리츠캐피탈이 함께 자금을 투입해 딜에 참여하는 구조로, 증권 역량이 우수하면 그룹 차원에서도 당연히 긍정적"이라며 “DB금융그룹 입장에서도 증권을 강화하고 싶은 생각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메리츠금융이 지금과 같은 기업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김용범 부회장을 중심으로 최고경영자(CEO)들이 적기에 '원 메리츠(포괄적 주식교환)' 전략을 가동한 영향이 컸다. 메리츠금융은 2023년 4월 메리츠증권, 메리츠화재를 상장폐지하고, 그룹 내 상장사를 지주사 1곳으로 단일화했다. 지주사가 각 계열사 지분 100%를 보유하는 완전자회사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기존에는 메리츠증권, 메리츠화재가 개별 상장돼 있어 메리츠증권이 양질의 딜을 발굴해도, 금융그룹 차원에서 움직이기 위해서는 각 계열사의 이사회를 거쳐야만 했다. 그러나 원 메리츠 출범으로 메리츠증권이 양질의 딜을 발굴하면, 메리츠금융지주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메리츠화재, 메리츠캐피탈 등 계열사가 일사불란하게 딜에 참여하는 구조가 완성됐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메리츠증권(증권)은 딜 소싱 역량이 우수하고, 메리츠화재(보험)는 상당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계열사 시너지 측면에서 보면 완성도가 높다"며 “일부 증권사들이 현재 메리츠금융을 벤치마킹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점차 많은 금융사들이 메리츠금융과 유사한 지배구조, 혹은 사업 모델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다올투자증권이 오래 전부터 대체투자에 강점을 갖고 있는데다, 최대주주의 지배구조가 탄탄하지 않은 점도 DB그룹 입장에서는 유리한 부분이다. 2대 주주인 DB손해보험과 3대 주주인 세코그룹 측이 각각 지분 9%대를 보유 중인 가운데 김기수 대표의 지분도 상황에 따라 캐스팅보트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DB손해보험에 앞서 세코그룹은 다올투자증권 지분율을 작년 12월 6.94%에서 이달 8일 9.35%로 늘렸다. 공교롭게도 이병철 회장은 2018년 권성문 전 KTB투자증권 회장과의 경영권 분쟁 끝에 지금의 자리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