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통상정책과 관련해 강경한 기조를 이어왔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중국에 유화 메시지를 보내자 미중 양국간 협상을 위한 대화에 물꼬가 트일지 관심이 쏠린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취임 선서 행사 뒤 대(對)중국 관세와 관련해 “매우 상당히 내려갈 것이지만 제로(0%)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중국과 협상시 관세율을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중국과 협상하는 과정에 대해 “우리는 매우 잘(nice) 대해 줄 것이고 그들도 매우 좋게 행동할 것"이라며 “무슨 일이 일어날지 보겠다. 그러나 결국 그들은 협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강하게 나가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과 협상에서 민감한 사안 중 하나인 코로나19 문제를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앞서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도 같은날 JP모건이 개최한 투자자 행사에서 현재 수준의 관세가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과 무역 갈등에 “아주 가까운 쟁래에 완화가 있을 것"이라며 미국의 목적은 중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미중 간 새로운 무역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모색이 “매우 잘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아직까지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중국 현지 매체인 차이롄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자신의 대표적인 관세 정책에 대한 입장을 완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부과 강행 이후 미중간 무역 협상은 시작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가운데 양국이 관세뿐 아니라 각종 무역 제재 조처를 주고받기 식으로 발표하는 등 강대강 대치를 이어왔다.
다만 미국측의 유화 메시지가 미중 대화로 이어질지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중국 싱크탱크 중국세계화센터(CGC)의 왕 휘야오 창립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더 합리적인" 분위기를 보여준다며 중국 정부가 최근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장관급)를 리청강으로 교체한 것은 “중국이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이 이에 호응할 것으로 확신한다"며 “우리는 안정화되고 냉각되는 기간을 갖고 트럼프 대통령과 가능한 한 정상적인 관계를 지속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반면 나티시스의 알리시아 가르시아 헤레로 수석 아시아태평양 이코노미스트는 “시장 폭락과 높은 미 국채금리로 트럼프 대통령이 패닉에 빠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빠른 협상을 원하지만 중국은 이런 상황에서 크게 제안할 필요가 없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창슈 수석 아시아 이코노미스트는 “일부 투자자들은 미국과 중국이 무역 갈등 완화를 위해 환율 조정 협정에 나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그러나 중국은 환율 문제에만 치중하는 협정이 아닌, 미국과 포괄적인 무역 협상을 기대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