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레이더(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후 친화석연료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헤지펀드들은 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분야에서 투자처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헤지펀드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반(反)기후 어젠다를 헤쳐나갈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는 제하의 기사에서 업계 분위기를 전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드릴, 베이비, 드릴"을 외치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미국 내 석탄 산업을 활성화하는 행정명령을 내리는 등 화석연료 부흥책을 내세우고 있다. 미국 정부는 또 중국이 동남아시아를 통해 우회 수출하던 태양광 제품에 최대 3500%에 달하는 관세를 매기면서 미국 저탄소 시장이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그럼에도 미국시장에서 유망한 저탄소 투자처가 여전히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호주에 위치한 헤지펀드 미노타우르 캐피탈의 아르미나 로젠버그 공동 창립자는 “우리 팀은 시장 둔화를 기회삼아 일부 저탄소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했다"며 미국 태양광 모듈 업체 퍼스트솔라, 전력회사 넥스트에라 에너지 등 주식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어 퍼스트솔라, 넥스트에라 에너지 등은 자체 공급망을 구축해 트럼프 정부의 관세 파장을 피할 수 있다며 관세로 인한 수혜가 예상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혁신의 필요성은 자본투자를 필요로 할 것"이라며 향후 12~36개월 동안 기업 전망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른 헤지펀드들도 투자처 모색 차원에서 미국 시장을 완전히 버릴 수 없지만 유럽과 아시아에서 더 나은 기회를 목격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국 헤지펀드 톨 트리스 캐피탈 매니지먼트의 리사 오뎃 창립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유럽에서 투자 기회의 싹이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고 런던 헤지펀드 클린 에너지 트랜지션의 퍼 레칸더 최고경영자(CEO)는 “주가가 저렴한 내수 기업"이란 이유로 독일 에너지 기업 이온(E.ON)과 RWE, 영국 전력회사 SSE 등의 롱 포지션을 구축했다고 전했다.
이온 주가는 올 들어 35% 가량 급등했고 유로 스톡스 유틸리티 지수도 16% 오른 상황이다.
BNP파리바의 환경 솔루션 펀드를 운용하는 에드워드 리스 매니저는 최근 글로벌 증시가 하락한 것을 기회삼아 일본의 수자원 관리 기업들과 인도의 발전 인프라 기업들의 주식을 매수했다고 밝혔다.
일부 헤지펀드는 이번 관세전쟁의 최대 타깃인 중국 주식을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젠버그 CIO는 “중국 전기차가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을 빼앗아가고 있다"는 평가를 바탕으로 중국 비야디(BYD)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비야디 주가는 올해 50% 가까이 급등한 반면 테슬라 주가는 40% 가까이 폭락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은 CATL, 비야디 등에 익스포져를 늘리려는 친환경 투자자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친환경 정책에도 불구하고 관세전쟁으로 인한 수요 둔화와 주요 산유국들의 증산으로 미국 석유 업계가 역풍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레칸더 CEO는 “이로 인해 미국 석유 및 가스 회사, 특히 셰일 업체들에 대한 공매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인데 국제유가가 50달러까지 떨어지면 사업 모델은 아예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크리스 라이트 미 에너지부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목격하고 있는 관세에 따른 불확실성은 단기적 현상"이라며 석유업계 달래기에 나서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