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美관세 충격 앞둔 韓경제…은행 연체율·부실채권 ‘경고등’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27 17:47
은행

▲서울 시내 은행 현금인출기(ATM) 모습.

한국 경제의 내수 부진과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은행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급증하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들의 연체율은 약 10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고, 부실채권(NPL) 규모는 사상 처음 12조원을 넘어섰다.


미국발 관세 전쟁 여파까지 본격화하면 연체율과 부실채권이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기업 연체율 10년내 최대 상승…가계 연체율도 11년전 수준

27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이 발표한 실적 공개 자료를 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전체 연체율의 단순 평균은 0.41%로 나타났다. 전분기 말(0.34%) 대비 0.07%포인트(p) 상승했다.


국민은행의 전체 원화대출 연체율은 0.35%로 0.06%p 올랐고, 가계(0.28%)·기업(0.40%)은 0.01%p, 0.10%p 각각 상승했다. 중소기업 연체율은 0.40%에서 0.50%로 0.10%p나 치솟았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2017년 1분기(0.51%)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고, 상승 폭(0.10%p)은 2016년 1분기(0.15%p) 이후 9년 만에 최대다.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 폭(0.10%p)은 2015년 1분기(0.22%p) 이후 10년 만에 가장 크다.




신한은행 연체율도 0.34%로 전분기 대비 0.07%p 높아졌는데, 중소기업 연체율은 0.49%로, 2017년 2분기(0.52%) 이후 가장 높았다. 가계대출 연체율(0.29%)은 2019년 3분기(0.29%) 이후 최대치로, 2014년 3분기(0.31%) 수준에 근접했다.


우리은행은 대기업(0.12%), 중소기업(0.50%), 전체 기업(0.43%) 연체율이 0.12%p, 0.10%p, 0.11%p 각각 상승했다. 가계대출 상승폭(0.04%p)보다 모두 컸다. 기업 연체율은 2015년 3분기(0.20%p) 이후 가장 상승폭이 컸다.


농협은행의 기업 연체율도 0.84%로, 2017년 2분기(1.0%)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



4대 은행 NPL 12.6조 돌파…1분기에만 1.7조↑

NPL 규모도 빠르게 늘었다. NPL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을 뜻한다.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1분기 말 기준 NPL 총액은 12조6150억원으로, 1년 전 대비 27.7% 늘었다. 역대 최대 기록이다.


일반적으로 NPL은 연말 부실채권 상·매각을 거치기 때문에 1분기에 규모가 가장 작지만, 1분기에만 1조7440억원이 늘어 은행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NPL은 지난해 2분기 말 처음 10조원을 돌파했다.


5대 은행의 가계·기업·전체 NPL 비율도 전분기 대비 각각 0.04%p, 0.07%p, 0.05%p 상승했다. 국민은행의 기업 NPL 비율은 0.56%로 2019년 3분기(0.57%) 이후 최고였다. 우리은행의 전체 NPL 비율도 0.32%로 2020년 4분기(0.32%) 이후 가장 높았다.



美 관세 충격 우려…은행 대응 프로그램 가동

은행들은 경기 부진과 고금리 장기화가 연체율 상승의 주된 배경으로 보고 있다. 불황이 지속되고 금리 인하 속도가 지연되며 개인사업자 등 취약 차주들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물가 상승과 고금리 여파로 한계기업의 원리금 상황 부담이 가중되고, 경기 둔화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중심으로 연체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까지는 대출 부실이 은행 건전성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준은 아니지만, 2분기부터 미국 관세정책이 본격화되면 상황은 더 악화될 수 있다. 수출 감소, 실물경기 침체에 따라 소비심리 회복이 지연될 우려가 커진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은 '개인사업자119' 프로그램을 가동해 대출 상환 부담을 줄이고, 기업 구조조정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농협은행은 핵심성과제지표(KPI) 제도를 활용해 연체 초기부터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건설 등 부실 위험이 높은 업종에 대해 대출 심사를 강화 중이다. 또 관세 여파에 대비해 '위기기업선제대응 액트(ACT)' 조직을 신설해 대응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