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초라한 ‘트럼프 취임 100일’ 성적표…美 황금기 없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28 11:41
5

▲1월 20일(현지시간) 제 47대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선서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 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한지 100일(29일)이 다가왔지만 그가 받은 성적표는 초라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20일(현지시간) 취임 선서를 통해 미국의 황금기를 예고하면서 집권 1기 때보다 더 강력한 '미국 우선주의'를 밀어붙였지만 미국에 대한 신뢰가 오히려 흔들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계 최고 권력자인 미국 대통령의 첫 100일은 취임 초기 강력한 국정동력을 바탕으로 대대적인 정책변화를 시도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하지만 이같은 싸늘한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뼈아프다.


미국에 대한 불안은 뉴욕증시를 대표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를 통해 명백히 드러난다. S&P500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시점부터 지난 25일까지 7.9% 하락했는데 이는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의 사임으로 당시 부통령이었던 제럴드 포드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던 1974년 이후 최대 낙폭이다.


이는 집권 1기보다도 더 암울한 성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17년 처음으로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100일 동안 S&P500 지수는 5.3% 올랐고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우 증시는 11% 가까이 폭등했다.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폭탄을 무기로 무역질서 재편에 나서려고 했던 것이 오히려 '셀 아메리카'를 부추기는 등 미국에 부메랑으로 돌아온 것이다. 특히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의 주식·채권·달러가 모두 약세를 보이는 매우 이례적인 현상마저 나타났다.


웰스 얼라이언스의 에릭 디턴 회장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를 통한 경제 붐을 위해 그가 당선됐지만 무역 불확실성이 오히려 경제 성장을 저해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증시에 대한 전망도 암울하다. 보호무역으로 미국의 일자리를 높이겠다는 장밋빛 전망과는 달리 관세 정책은 미국 경제를 둔화시킬 것이란 우려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버트 파이낸셜의 마크 말렉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발생했다.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 추세와 모멘텀은 주식 시장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안타깝게도 이러한 것들이 너무 빨리 하락하면 되돌리기가 매우 어렵다"고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이고 극단적인 정책 행보 또한 미국 자산을 외면하려는 심리를 키우고 있다.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를 아직도 모른다는 지적도 나온다. 머피 앤드 실베스트 자산운용의 폴 놀트 시장 전략가는 “미국이 베트남, 캐나다, 유럽 등에서 무엇을 이루려고 하는지 아직도 모른다"며 “성공이 어떤 모습인지 전혀 감을 못잡고 있다"고 했다.


투자자들 뿐만 아니라 유권자들도 등을 돌리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취임 100일을 앞두고 그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라 공개되면서다.


워싱턴포스트(WP)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와 함께 지난 18∼22일 미국 성인 24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7일(현지시간) 발표한 온라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39%, '부정적'은 55%였다.


같은 날 공개된 CNN 방송이 조사업체 SSRS와 함께 지난 17∼24일 미국 성인 16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41%로, 3월 조사보다 4%포인트, 2월 조사보다 7%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경제관리 능력에 대한 평가도 5%포인트 내린 39%로 최저치를 찍었고, 경제 문제 해결에 대한 신뢰도 역시 12월 조사보다 13%포인트 떨어진 52%를 기록했다고 CNN은 전했다.


최근 폭스뉴스가 공개한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3월 조사 대비 5%포인트 하락한 44%로 나타났다. 이는 집권 1기(45%)는 물론 조 바이든(54%), 버락 오바마(62%), 조지 W. 부시(63%) 등 다른 역대 대통령보다 낮게 나타났다. 특히 경제에 대한 지지율은 38%로 최저치를 경신했고 인플레이션(33%), 관세(33%), 해외정책(40%), 세금(38%) 등에 대한 평가도 부정적이었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유권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를 강화하겠다는 핵심 선거 공약을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