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맞아 자동차 관세 완화를 위한 조치들을 최근 발표했지만 그럼에도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관세로 인한 영향을 여전히 받게 될 것이며, 그 규모는 최대 1만2000달러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미국 싱크탱크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혼다 시빅·오딧세이, 쉐보레 말리부, 도요타 캠리 하이브리드, 포드 익스플로러 등은 관세로 인한 비용이 2000~3000달러 상승할 수 있다고 밝혔다.
포드 익스플로러의 경우 미국 정부의 관세 완화 조치로 추가 비용이 기존 4300달러에서 2400달러로 하락했다고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은 설명했다.
또 메르세데스 지바겐, 랜드로버, BMW, 포드 머스탱 마하 E 등 유럽과 아시아에서 조립된 수입차의 경우 추가 비용이 1만~1만2000달러에 육박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제너럴모터스(GM)은 관세로 인한 영향이 최대 50억 달러에 달하고 이중 20억 달러는 한국에서 수입하는 자동차라고 전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완성한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서는 사실상 25% 관세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포고문에서 자동차 제조사가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 가치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를 1년간 줄이고, 이듬해에는 10%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를 줄이라고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