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8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헛발질' 이후 역설적으로 강남3구·용산구 등 주요 지역의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더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투자처라는 인식이 확산돼 '똘똘한 한 채'를 원하는 이들이 집중 투자하면서 가격이 더 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된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2일까지 강남3구와 용산구의 아파트의 거래가 대폭 줄었지만 오히려 신고가 행진이 잇따르고 있다.
이기간 동안 매매 건수는 158건(거래 취소건 제외)에 불과했다. 송파구 73건, 강남구 61건, 서초구 12건, 용산구 12건이다. 이는 토허제 확대 지정 이전 같은 기간(2월 11일∼3월 23일) 3846건에 비해 96%나 줄어든 수치다.
그러나 재건축 고가 아파트를 위주로 신고가 행렬은 이어지고 있다.
전체 거래 중 60건(38%)이 신고가인데, 이 중 절반인 30건이 강남구에서 나왔다. 특히 압구정 아파트는 22건의 거래 중 14건(64%)이 신고가였다. 압구정은 여의도, 목동, 성수동과 함께 계속해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남아 있는 곳이다
지난달 23일에는 압구정 현대2차 한강변 동의 전용면적 198.4㎡가 105억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새로 썼다. 토허제 확대 전 같은 동, 같은 평형이 90억∼94억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단기간 10억원이 넘게 올랐다.
압구정 신현대11차는 이달 3일 171.4㎡가 최고가인 90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한 달 전 같은 평형 매매가격인 81억원보다 역시 10억가량 올랐다. 신현대9차 108.8㎡는 토허제 확대 직전인 3월 22일 50억에 거래됐으나 6일 만에 최고가인 60억원 거래가 체결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됐다가 재지정된 강남구 대치동에서도 신고가 행렬이 이어졌다. 대치동 거래 17건 중 7건이 신고가였다. 대치동 한보미도맨션2차 190㎡는 60억원, 개포우성1차 127㎡는 50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은마아파트에서도 76㎡가 31억4000만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가 나왔다.
강남구 개포동에서 이뤄진 거래는 4건의 거래는 모두 신고가였다.
송파구에서는 잠실 장미아파트, 주공5단지 등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잇따랐다.
잠실주공5단지는 82.6㎡가 40억7500만원에 거래돼 처음으로 40억원을 돌파했다.
이밖에 용산구에서는 한가람(59㎡·19억9000만원), 한강대우(60㎡·20억3700만원) 등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한강변 아파트 위주로 신고가 거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