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igned by 김베티 기자
'6·3 대선' 선거운동이 뜨거운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민생경제 내수진작 공약으로 '지역화폐'와 '온누리 상품권'을 나란히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지역화폐와 온누리상품권은 소상공인을 살린다는 취지 자체는 같지만, 발행기관 및 사용처에 다소 차이가 있다.
지역화폐는 행정안전부가 관할·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고, 각 지자체에 소속된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반면에 온누리 상품권은 중소벤처기업부가 관할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행하며, 사용처는 전국 전통시장 및 골목형상점가로 규정돼 지역화폐와 구별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난 11일 경북 영천공설시장에서 지역화폐로 식재료를 구매하고 있다. 사진=이재명 후보 페이스북 캡처
李·민주당, 전국 유세 돌며 '지역화폐 사용' 부각
14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성남시장 시절부터 추진해온 대표정책인 '지역화폐'를 공약으로 내걸고 이슈 선점에 나섰다. 이 후보가 제시한 '지역화폐 의무화'는 지역화폐 운영을 위한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의무화하는 내용이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해 지역화폐 의무화 법안을 국회에서 통과시켰지만, 당시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무산됐다. 지역화폐는 올해 본예산에서도 제외됐다가 최근 추가경정예산으로 4000억 원이 편성되면서 부활의 물꼬를 텄다.
이 후보는 지난 11일 공식 선거운동 시작과 함께 '지역화폐 사용 챌린지'도 시작했다. 직접 경북 영천공설시장을 방문해 식재료를 사고 지역화폐로 결제하며 '챌린지'의 시작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알렸다. 이후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도 대선 기간 해당 챌린지를 전국으로 확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렇다고 이 후보가 지역화폐와 비교 대상으로 자주 오르내리는 온누리 상품권의 발행을 축소하겠다는 입장은 아니다. 이 후보는 지역화폐와 함께 온누리 상품권의 발행 규모도 확대하겠다는 공약을 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지난 13일 울산 뉴코아아울렛 인근 시장을 찾아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金, 재정 부담 논란 없는 온누리상품권 예산 5.5조→6조원 증액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지역소비 촉진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 상품권'을 적극 밀고 있다.
김 후보의 공약집에는 온누리 상품권의 발행 규모 확대하겠다는 공약이 제시돼 있으나, 이재명 후보가 띄우는 지역화폐에는 별도의 언급이 없다. 재정 부담 논란이 끊이지 않는 지역화폐보다는 지난 정부가 추진해온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활성화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김 후보는 올해 5조5000억원으로 책정된 온누리 상품권 예산을 6조원으로 증액하고, 전통시장 신용카드 소득공제율도 40%에서 50%로 확대하는 내용을 공약에 담았다. 또한, 전통시장 주변의 주차 및 교통편의시설을 확충해 전통시장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