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권이 소비자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앞다퉈 고금리 적금을 출시하고 있다.(사진=픽사베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 등 은행권이 앞다퉈 고금리 적금을 출시하고 있다. 금리 인하 기조 속에 고객 자금 이탈이 가속화하자 높은 금리를 내세워 소비자 유입을 노리는 것이다.
15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날 최대 연 7%를 주는 '우리원(WON)모바일 적금'을 출시했다. 이는 최근 우리은행이 선보인 알뜰폰 서비스 '우리 WON모바일'과 연계된 상품이다. 12개월 만기 자유적립식 상품으로, 월 최대 20만원까지 납입 가능하다. 기본금리는 연 3%로, 우리WON모바일 요금제 이용, 통신비 우리은행 계좌 자동이체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4%포인트(p)의 우대금리를 준다. 알뜰폰을 이용해 통신비를 줄이면서 고금리 혜택까지 누릴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은행의 설명이다.
우리은행은 시니어 세대가 자녀·손주에게 금리 혜택을 양도할 수 있는 최대 8% 금리의 '우리 내리사랑 적금'도 판매 중이다. 만 50세 이상 시니어 고객이 우리WON뱅킹을 통해 가입코드를 발급받아, 만 29세 이하의 자녀나 손주 등에게 전달하면 자녀세대가 최고 연 8% 금리로 적금을 가입할 수 있다. 1년 만기 상품으로, 기본금리 연 2%에 우대금리를 최대 6%p 준다. 월 최대 납입액은 30만원이다. 가입은 10만좌 한정으로 9월까지 가능하다.
BNK부산은행은 최대 연 7%의 금리의 '아이사랑 적금'과 '너만솔로 적금', '아기천사 적금'을 판매 중이다. 기본금리는 연 1.9%, 우대금리는 최고 5.1%p를 준다. 가입 기간은 1~3년, 월 최대 3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전북은행의 'JB슈퍼씨드적금'은 최대 연 13.3%의 금리를 제공한다. 전북은행의 공식 캐릭터인 제이비(Jay-B)가 꾸준히 저축하는 고객들에게 부자씨(씨드)를 가져다 주는 콘셉트 상품이다. 기본금리 연 3.3%에 매월 랜덤으로 제공되는 씨드가 행운의 슈퍼씨드인 경우 10%p의 우대금리를 더 준다.
케이뱅크는 전날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와 최고 연 7.2%를 주는 '궁금한 적금' 시즌3를 출시했다. 이 적금은 매일 랜덤 금리와 함께 새로운 스토리가 제공되는 한 달 만기 상품이다. 31일 동안 매일 빠짐없이 입금하면 기본금리 연 1.2%에 랜덤 금리를 더해 최대 연 7.2%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하루 입금 가능 금액은 최소 100원에서 최대 5만원이다.
은행들이 고금리 적금 상품을 내놓고 있는 것은 금리 인하기에 다른 투자처를 찾아 빠져나가는 '머니무브'를 막기 위해서다.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최고 연 2%대로 하락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요구불예금은 629조3498억원으로, 전월 대비 20조7743억원이 줄었다. 정기예금 잔액(922조4722억원)은 전월 대비 225억원 늘었지만, 지난 3월 한 달 동안 15조5507억원이 감소하며 자금 이동이 두드러지고 있다. 정기적금 잔액은 40조4690억원으로, 전월 대비 9842억원 늘었다.
단 적금 상품의 경우 실제 예치 금액이 크지 않고, 실직적인 금리 수준이 정기예금보다 낮아 꼼꼼히 비교하고 선택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적금 금리는 정기예금 금리의 절반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며 “예치 금액이 크지 않아 은행 입장에서 큰 부담이 안되기 때문에 고금리로 적금을 내놓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