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시장 포화 다다른 편의점 사업…빅3, 수익성 악화 국면빠지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21 14:23

GS·BGF리테일, 영업이익 각각 22.3%·30.7% 감소

실적 부진, 주가에도 반영…고점 대비 ‘반 토막’

ㄴ

▲편의점 3사 로고. 각사

편의점 업계 상위 3사가 나란히 1분기 실적 부진을 기록했다. GS리테일과 BGF리테일은 각각 두 자릿수 영업이익 감소율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고, 코리아세븐은 영업손실 규모에서 전년보다 소폭 개선됐지만 적자 기조를 이어갔다.


21일 증권가에서는 기존점(개점한 지 1년이 넘은 점포) 성장률 둔화, 출점 효과 약화, 고정비 증가 등을 원인으로 지목하며, 출점 확대에 의존하던 성장 공식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GS리테일은 1분기 매출 2조7613억원, 영업이익 387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 -22.3%의 증감률을 나타냈다.


이진협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홈쇼핑, 슈퍼 부문 부진이 두드러졌고, 편의점 부문 역시 출점 효과가 크지 않았다"며 “동사는 편의점 점포 순증 가이던스를 기존 500~600개에서 250~300개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점포 순증 가이던스란, 연간 기준으로 '신규 출점 수에서 폐점 수를 뺀 순증 점포 수'에 대한 각 회사의 계획치를 의미한다.




그는 “편의점 산업이 출점만으로 외형 성장이 가능하던 구조적 성장기는 마무리된 것은 사실"이라며 “그동안 점포 수를 빠르게 늘리는 방식으로 성장해왔지만, 업황 부진으로 현재는 해당 전략의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BGF리테일은 연결 기준 1분기 매출 2조16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26억 원으로 30.7% 줄었다.


남성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영업이익은 당초 시장 기대치인 300억 원을 약 25% 하회했다"며 “기존점 성장률이 -2.1%로 감소했고, 신규 출점 효과가 제한적이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날씨, 이벤트 영향, 담배 판매 비중 확대 등으로 상품 혼합 효과가 약화했고, 고정비 부담이 이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코리아세븐(세븐일레븐)은 가장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같은 기간 매출은 1274억 원에서 1136억 원으로 10.9%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365억 원에서 339억 원으로 약 7.1%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다.


편의점 업계의 전반적인 수익성 둔화는 점포 수 성장 한계와 맞물려 있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의 추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편의점 4사(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의 점포 수는 총 5만4852개로 전년보다 28개 줄어 편의점 산업 도입 이래 첫 순감을 기록했다.


남 연구원은 “기존점 성장률이 하락하고 있음에도 이익 감소 폭은 그보다 더 컸다는 점이 1분기 실적에서 가장 부정적으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판관비도 대체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BGF리테일은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한 3469억 원의 판매관리비를 기록했고, GS리테일 역시 0.3% 증가한 6357억 원으로 소폭 늘었다. 반면 코리아세븐만이 6.3% 줄어든 2674억 원을 기록하며 유일하게 비용을 절감했다.


실적 부진은 주가에도 일정 부분 선반영된 모습이다. GS리테일은 2020년 5월 고점(3만7974원)에서 60% 넘게 빠져 13000원대다. BGF리테일은 2022년 말 고점(21만9500원) 대비 현재 주가가 절반 이하로 하락해 9만 원대 후반을 유지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GS리테일에 대해 기존 투자의견 'BUY'를 'HOLD'로 하향하고, 목표주가도 1만5000원으로 낮췄다. 이 연구원은 “포트폴리오 재정비는 진행 중이지만, 실적의 턴어라운드를 기대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IBK투자증권은 BGF리테일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면서도, 실적 추정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를 14만5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남 연구원은 “중대형 점포 전략은 합리적이며, SKU 확대(판매 상품 종류를 늘리는 전략) 등을 통한 점유율 확보 전략은 중장기적으로 유효하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