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기업은행, ‘분기배당 관문’ 넘었다...주주들 언제쯤 받을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22 16:18

금융위, 정관 일부변경 인가안 의결
이르면 내년 분기배당 시행할 듯

“PBR 1배까지 배당성향 40% 확대”
1분기 최대 실적...배당확대 기대감↑

기획재정부 세수확보 긍정적이나
다음달 새 정부 출범 변수

기업은행.

▲IBK기업은행 전경.

금융위원회가 최근 분기배당 도입을 골자로 한 IBK기업은행의 정관 일부변경을 인가하면서 분기배당 시기에 대해 주주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기업은행은 현재 결산배당만 단행하고 있는데, 앞으로 4대 금융지주처럼 분기에도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기업은행이 이르면 내년부터 분기배당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은행은 이번 분기배당과 함께 현금배당을 강화해 배당성향을 별도 기준 4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이달 14일 회의를 열고 기업은행의 정관 일부변경 인가안을 의결했다.


기업은행은 올해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선 배당액 확정, 후 배당기준일 지정과 함께 분기배당 근거조항을 신설했는데, 이를 금융위가 의결한 것이다. 이번 정관 변경에는 국제결제은행(BIS)비율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한도를 기존 10조원에서 20조원으로 증액하는 안도 포함됐다.


기업은행이 분기배당을 단행하기 위한 당국 허가가 완료됨에 따라 이르면 내년부터 분기배당을 단행할 것으로 점쳐진다. 4대 금융지주가 분기배당을 단행하는 것과 달리 기업은행은 현재 결산배당금만 지급하고 있다. 분기배당을 단행하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배당 규모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어 긍정적이다.


기업은행 배당성향 목표.

▲기업은행 배당성향 목표.

기업은행의 배당은 기획재정부 배당협의체에서 결정된다. 기획재정부는 기업은행 지분 59.5%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기업은행은 실적 개선을 토대로 배당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주당배당금(DPS)은 2021년 780원에서 2022년 960원, 2023년 984원에 이어 작년에는 역대 최대인 1065원까지 상향됐다. 그럼에도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36배로 장부가(청산가치)를 하회해 주가가 저평가됐다.




이에 기업은행은 PBR 1배 달성을 목표로, 배당성향을 40%대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CET1 구간별로 주주환원 목표를 제시해 배당 가시성도 높일 방침이다. CET1 비율 12% 이하 구간에서는 배당성향을 35%로 올리고, 비율이 12%를 초과하면 배당성향을 40%로 상향한다. 1분기 말 현재 CET1 비율은 11.37% 수준이다.


기업은행

▲기업은행 당기순이익 추이.

기업은행이 올해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면서 연간 기준 배당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1분기 연결순이익은 81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늘어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정부 배당협의체 기준에 따라 기업은행의 배당성향은 별도 기준으로 산출된다. 별도 기준 순이익은 76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김은갑 키움증권 연구원은 “자기주식 매입 및 소각의 주주환원 정책을 실행하지는 않지만, 배당을 통해 주주환원을 차별화된 수준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업은행이 배당을 확대하면 기획재정부의 세수 확보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기재부가 기업은행으로부터 수령한 배당금은 5000억원이 넘는다. 다만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에도 일부 변수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내수 부진 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기업은행이 적극적으로 대출을 취급하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공공적 역할이 타행보다 더욱 많이 요구될 수밖에 없는 기업은행의 특성은 투자자들에게 다소 부담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기업은행 측은 “정관 변경에 대한 금융위의 승인을 득했다"며 “분기배당 도입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