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가즈프롬의 사할린2 LNG 프로젝트. 사진=가즈프롬
세계에서 석유, 가스 생산량이 가장 많은 나라 중 하나인 러시아가 유럽 수출이 막히자 아시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 아시아의 에너지 허브인 싱가포르가 이 물량을 취급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멀어, 한국에 극동지역 에너지 허브 기회가 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4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민지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러시아 에너지 전략 2050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의 대아시아 수출 다각화 계획이 더욱 분명해짐에 따라, 향후 러시아의 북극항로 개발 현황, 극동지역 에너지 생산지 개발 및 인프라 구축 과정, 아시아 국가들과의 수출 협상 상황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러시아 정부는 최근 에너지분야 최상위 국가 전략인 '에너지 전략 2050'을 수립했다. 이 전략은 2050년까지 기술주권을 확보하고 산업 구조를 고도화해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및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러시아가 미래에 에너지 수출을 하고자 하는 지역은 아시아이다. 그동안 러시아는 주로 유럽으로 에너지를 수출했으나, 2022년 러-우 전쟁 이후 유럽의 러시아 에너지 수입이 급격히 줄었고, 최근 유럽연합은 2027년까지 러시아 석유, 가스 수입을 완전 중단하는 '러시아 에너지 수입 전면 중단 로드맵'을 수립했다.
러시아 정부는 '에너지 전략 2050'과 함께 북극항로를 극동 항만, 동시베리아 철도와 통합하고, 북극항로 인접 항만을 현대화해 석탄, LNG, 석유화학제품 수출망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극동지역 항만인 캄차카, 블라디보스토크, 사할린 등을 에너지 자원의 환적·저장·가공 가능한 복합물류허브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극동지역을 에너지 산업과 수출의 거점으로 거듭나도록 할 계획이다.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이 아시아로 쏠리게 되면 아시아에는 물량이 넘쳐날 것으로 예상된다.
EI(Energy Institute)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러시아의 석유 생산량은 하루 1120만배럴로,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계 3위이다. 가스 생산량은 하루 598억cf로, 미국에 이어 2위이다. 2020년 기준 석유 확인매장량은 1078억배럴(세계 6위)로, 가채년수는 26.4년이며, 가스 확인매장량은 37.4조㎥(세계 1위)로, 가채년수는 60.5년이다.
여기에 미국의 에너지도 상당량이 아시아로 향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정부가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한국, 일본, 대만, 베트남 등 아시아국에 에너지 수입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약 100억배럴의 석유 가스가 매장된 알래스카 에너지 개발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표적 사업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한국, 일본, 대만의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알래스카 에너지 물량은 일주일이면 아시아로 공급이 가능하다.
결국 미국의 신규 생산물량과 러시아 물량이 아시아로 공급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접점에 있는 한국이 새로운 아시아 에너지 허브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국은 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지역인 동북아의 가운데에 위치해 있으며, 일본보다 지질적으로 안정적이다. 특히 우리나라 울산, 부산, 여수는 초대형 선박인 VLCC급의 접안도 가능할 정도로 천혜의 항만 환경도 갖추고 있다.
민지영 전문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미국 트럼프 2기 들어 미·러 관계 정상화가 기대된다"며 “추후 북극항로, 극동지역에서의 한·러 협력 가능성을 고려해 관련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