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아 카카오 대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왼쪽부터)가 지난 2월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오픈AI가 한국에 법인을 공식 설립하고 서울에 첫 사무소를 연다. 국내 기업·정부 등 핵심 이해관계자들과 협력을 추진할 인력 채용을 시작할 예정이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26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과의 미팅에서 한국에 법인을 공식 설립하고 서울에 첫 번째 사무소를 개설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챗GPT가 한국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가 담긴 최신 데이터를 공개했다.
앞서 이 회사는 국내 시장에 진출하기 전에도 다수의 기업·기관과 파트너십을 맺고 협력 확대에 나선 바 있다. 카카오는 지난 2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방한 당시 하반기 중 출시 예정인 인공지능(AI) 솔루션 '카나나'를 비롯한 서비스 전반에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올트먼 CEO는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와도 AI 도입 방향을 논의한 바 있다. 크래프톤은 직원들이 챗GPT를 활용도를 높이고 있으며, 오픈AI 기술을 게임 개발에 접목 중이다.
한국산업은행(KDB)과는 △국내 스타트업 육성 △한국어 AI 역량 강화 △국내 데이터센터 기회 탐색 등을, SK텔레콤과는 지속적인 마케팅·유통 파트너십을 맺었다.
챗GPT의 국내 주간활성이용자수가 지난 1년새 4.5배 이상 늘면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유료 구독자를 확보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사무소 위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한국 법인은 이미 설립을 마친 후 인력 채용을 시작했다. 한국 진출을 통해 정책 입안자, 기업, 개발자 및 연구자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형 AI 개발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오픈AI 관계자는 “수 개월 안에 사무소를 개설해 국내 기업과의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사용자·기업·개발자뿐 아니라 정부와의 파트너십 지원에 힘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권 CSO는 이날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 대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AI 정책 관계자들과 각각 만나 국가 AI 인프라 확대에 오픈AI가 협력할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고 밝혔다. 다만 국내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에 대해선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았다.
그는 “한국은 반도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AI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풀 스택' 생태계를 갖추고 있으며, 학생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세대가 AI를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AI 선도국"이라며 “한국에서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AI 인프라 구축 등에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