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장하은

lamen910@ekn.kr

장하은기자 기사모음




동원건설, 유동성 리스크 부각…신용등급 하향, 투자부적격 ‘직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01 16:43

영업익 흑자전환에도 '이자 감당' 그쳐, 회복 제한적

단기차입금 의존도 급증…유동성 리스크 '경고등'

공사미수금 1300억원대, 회수 지연 자금 부담 가중

부채비율 360% 업계 평균 웃돌아, 차입 여력 한계

사진=동원

▲사진=동원

동원건설산업의 유동성 압박이 심해지고 있다. 전체적인 현금흐름 저하와 자본완충력 약화로 재무안정성이 저하됐다. 최근 신평사들의 신용등급도 한 단계 하락하면서 이자부담은 더 확대될 전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기업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는 동원건설산업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하향했다. 앞으로 한 단계만 더 떨어지면 투자부적격으로 분류된다.


두 신평사가 동원건설의 신용등급을 내린 이유는 이익창출 감소와 현금흐름 약화, 이에 따른 자본완충력 감소 등이다.


지난해 동원건설은 신규 수주 축소와 기존 수주 물량 소진으로 전년 대비 43.9% 감소한 3714억원을 기록했다. 외형 축소가 판매관리비 부담으로 작용하며 EBIT/매출액은 전년 대비 4.4%포인트(p) 개선되는 수준에 머물렀다. 그간 수익성에 타격을 줬던 매출원가율은 92.1%로 전년 대비 7.3%p개선됐으나, 고정비가 수익성 개선 폭을 제한한 것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134억원에서 87억원으로 전환되며 흑자에 성공했지만, 이자비용을 감당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동원건설의 이자보상배율은 1.59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 55억원을 상환한 뒤 32억원이 남았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재무비율이다. 앞서 동원건설의 2022~2023년 이자보상배율은 -44배, -3.94배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적자구조가 이어진 것이다. 올해는 작년보다 신용등급이 한 단계 강등됐다.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영업환경이라면 이자비용 부담은 더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동원건설의 차입부담은 급격히 확대됐다. 차입금의존도는 40.9%로 전년 30.7% 대비 10%p 늘었다. 이 비율은 통상 30%가 안정적이라고 평가된다.


문제는 이보다 보수적인 관점에서 평가되는 단기차입금의존도가 급증했다는 점이다. 2023년까지 1~3% 사이로 관리됐던 단기차입금의존도는 지난해 25.2%로 전년 대비 10배 가까이 늘었다. 단기차입금 상관 부담이 더 커졌다는 의미다. 신평사 한 관계자는 “단기차입금의존도가 급증한 것은 단기적인 유동성 리스크가 더 확대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날 현재 동원건설의 단기차입금은 300억원에 이른다. 만기일이 지난달까지였던 410억원 중 110억원은 갚은 상태지만 나머지는 납기를 미룬 것으로 파악된다. 동원건설은 하반기에도 추가적인 상환 계획을 갖고 있으며, 차입의존도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매출채권·공사미수금·미수금 등 거래처로부터 아직 받지 못한 대금은 지난해 말 1742억원에서 1542억원으로 감소했다. 공사미수금 200억원을 회수하면서다. 이로써 공사미수금은 작년말 1510억원에서 1310억원으로 줄었다. 공사미수금은 공사 진행은 했지만, 아직 받지 못한 대금을 의미한다. 건설업계에서는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채권 중 하나로 꼽힌다.


상황이 이런 가운데 현금 부족을 완충할 가용현금은 빠듯한 상태다. 작년 말 동원건설의 재무적가용현금흐름(ACF)은 -418억원이다. ACF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내부에서 벌어들인 현금만으로는 자금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외부 자금조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회사는 올해 외부조달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최근 이뤄진 자산 매각으로 100억원의 현금 유동성을 확보한데다, 상반기 확보한 600억원 이상의 현금성 자산으로 상쇄할 수 있다는 기대다. 지난달 15일 동원건설은 모회사인 동원산업에 경기도 소재 토지·건물을 매각했다. 기업가치 제고 및 자산 효율화 즉, 현금 유입이 주 목적이었다. 회사의 계산대로라면 상반기 마련된 현금으로 단기차입금 상환에는 부담이 없어 보인다. 다만 매출채권·공사미수금 등 채권에서 부실이 발생할 경우 이는 부담으로 다가올 전망이다.


동원건설의 부채비율은 360.9%로 업계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부채비율이 360%가 넘는다는 것은 부채가 자기자본 대비 3.6배 정도 많다는 의미다. 이미 차입을 늘리기 어렵거나, 추가 차입 시 높은 금리를 줘야하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의미다.


한기평은 지난달 건설업 신용도 평가에서 올해 건설사들의 부채비율이 200% 내외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동원건설을 포함한 한기평 유효등급 보유 투자등급군에 속하는 건설사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동원건설의 부채비율은 업계 평균 대비 160%p 이상 높은 수준이다.


동원 관계자는 “2024년말~2025년 상반기 신규 현장 수주로 현금 유동성을 확보했고, 미단시티 사업 정상화로 미수금은 순차적으로 회수 진행 중"이라며 “올해 상반기에 수주실적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크게 확대됐다"고 말했다. 이어 관계자는 “전년 대비 기준금리 하락으로 이자율 변동폭 완화와 상반기 차입금 110억원 상환으로 이자비용은 감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