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더 오르면 진짜 힘들겠다 싶어서 갭투자라도 해서 강남권 '똘똘한 한 채'에 투자하려고 했지만 일단 멈춘 상태다. 정부 말대로 노후를 위해 주택 말고 금융 상품에 투자해도 마음을 놓을 수 있다면 좋겠다." 최근 대출을 통해 서울 1급지 주택 구매 직전까지 갔던 40대 직장인 A씨의 말이다. 이처럼 정부가 지난달 6억 원 초과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사실상 차단한 이후 서울 아파트 수요가 급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강북을 가리지 않고 거래량·금액이 일제히 줄었다.
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서울 25개 자치구에 대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일주일 동안 거래된 서울 아파트는 총 577건으로, 직전 일주일(6월 20일∼26일)의 1629건보다 1052건(64.6%) 감소했다.
실거래 신고가 완료되려면 약 한 달이 남았기 때문에 거래량은 더 늘어날 수 있지만 대책 발표 전 '불장'이던 강남3구와 마용성을 보면 확연한 변화가 감지된다.
비교 기간 강남3구 거래량은 송파(24건→1건) 95.8%, 서초(15건→1건) 93.3%, 강남(76건→24건) 68.4%씩 감소했다. 같은기간 마포도 66.3%(86건→29건), 용산은 21.4%(14건→11건), 성동은 53.8%(93건→43건) 각각 줄었다.
이번 대책 이후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금관구(금천·관악·도봉)등 외곽 지역도 거래가 얼어붙긴 마찬가지다.
노원(143건→60건)은 58.0%, 도봉(48건→25건)은 47.9%, 강북(21건→15건)은 28.6% 각각 줄었다. 금천은 73.1%(26건→7건), 관악은 62.7%(59건→22건), 구로는 65.8%(79건→27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출 규제 발표 직후인 지난달 29일 부동산R114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들 지역은 6억원 이하로 주담대를 받아도 평균 시세 안에서 아파트를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수요자들이 매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흐름을 보면 '6·27 대책'은 인기 지역과 외곽 지역을 가리지 않고 시장 전반에 찬바람을 불어넣은 셈이다.
대출 규제 발표 후 일주일간 서울 거래량은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감소했으며, 이 중 용산, 도봉, 강북을 제외한 22곳의 거래량 감소 폭은 50%를 웃돌았다.
거래 금액도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25개 자치구 모두 직전 일주일 대비 축소해 서울 전체로는 67.3% 줄어든 6319억원 규모로 나타났다.
대책 발표 전 일주일간 거래 금액이 총 2223억원으로 가장 많았던 강남구는 71.3% 줄어든 637억원을 나타냈다. 서초는 97.0% 급감한 15억원, 송파는 89.9% 감소한 43억원으로 조사됐다.
노원 -61.0%(340억원), 도봉 -51.1%(126억원), 강북 -36.0%(85억원) 등도 거래 금액이 축소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지난달 수도권과 규제 지역의 대출 한도를 제한하는 6·27 대책을 발표한 데 이어 추가 규제를 예고한 만큼 당분간 시장의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