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오른쪽)이 18일 경상남도 경주에서 열리고 있는 대한상의 하계포럼 'AI 토크쇼'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제조업 인공지능(AI) 최대 위협은 중국"이라며 “많은 데이터를 가진 일본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최 회장은 18일 경주에서 열리고 있는 대한상의 하계포럼 'AI 토크쇼'에 참석해 “우리도 제조 AI 데이터가 풍부하지만 최근 중국은 우리보다 데이터가 많고 학습 능력도 빨라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회장은 “일본은 한국과 다른 제조 데이터를 갖고 있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며 “배타적 경쟁이 아닌 전략적 연합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AI 산업 발전 방안과 관련해서도 입을 열었다. 최 회장은 “인재 육성은 필요하지만 시간이 걸리고 퀄리티도 약간 의심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또 다른 해법은 수입"이라며 “해외에서 고급 인력을 유입해야 한다. 중요한 타깃 분야가 AI"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지금 성장을 못 하는 이유 중 제일 큰 게 두뇌 유출"이라며 “우리나라에 두뇌를 계속 유입시켜서 경제 활성화를 하고 내수 시장도 만들어야 선순환이 된다"고 덧붙였다.
AI 시대 전기요금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냈다. 최 회장은 “데이터센터 운영비 85%가 전기요금"이라며 “전기요금을 싸게 만들어야 한다. 대한상의도 수도 없이 건의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지도가 달라져야 한다. 발전소에서 가까운 곳은 싸져야 하고 멀수록 비싸져야 한다"며 “유가 자유화 이전 옛날에는 전국 기름값이 똑같았지만 지금 그렇다면 이상하지 않다. 동일한 전기요금을 똑같이 계속 받겠다는 건 잘못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데이터를 어떻게 보고, 엔진을 어떻게 키우고, 에너지 설루션을 잘 찾아낸다면 대한민국의 AI가 꽤 발전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메가 샌드박스라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볼 수 있다. 비슷한 산업과 지역에 설루션이 들어가야 할 필요성이 증가한다"며 “아이들이 갖고 노는 모래상자가 돼서 옷을 버리든지,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도록 내버려두는 그런 발상이다. 일단 뭔가 해 볼 수 있는 정도를 많이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