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공모가 상단 줄줄이…하반기 IPO 시장 ‘흥행 질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1 14:16

7월 상장 러시…수요예측 줄줄이 흥행

IPO 조선업부터 바이오·방산까지…업종 다변화 뚜렷

ㄴ

▲뤼튼.

국내 증시 회복세에 힘입어 공모주 시장에도 다시 온기가 돌고 있다. 7월 들어 수요예측에 나선 주요 기업들이 잇달아 흥행에 성공하면서, 공모가를 희망밴드 상단에 확정 짓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증시 상승과 맞물려 IPO(기업공개) 시장에 대한 투자심리가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16개 기업이 증시에 입성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6월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합병을 포함해 신규 상장사가 5곳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의 증가세다. 바이오부터 건설기계, 통신, 반도체 등 업종도 다채롭다.


하반기 IPO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대한조선은 오는 22~23일 일반청약을 앞두고 있다. 1987년 설립된 이 회사는 KHI(한국산업은행 계열)가 최대주주이며, 중대형 탱커선을 주력으로 생산한다. 앞서 진행한 기관 수요예측에는 2000여개 기관이 참여해 희망공모가(4만2000~5만원) 상단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다만 대한조선은 공모가 산정에 업황 호조를 반영한 PBR(주가순자산비율) 약 5배를 적용해 고평가 논란도 있다. 회사 측은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및 노후 선박 교체 수요를 기반으로 성장 전망을 자신하고 있다. 공모가는 21일 확정된다.


바이오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프로티나는 오늘까지 일반청약을 진행 중이다. 단백질 간 상호작용(PPI) 빅데이터 기반 기술을 보유한 이 회사는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1199대 1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희망밴드 상단(1만4000원)으로 확정했다. 청약은 한국투자증권을 통해 가능하며, 최소 청약단위는 50주(증거금 35만원)다.


이외에도 아이티켐, 삼양컴텍, 지투지바이오 등 다수의 IPO가 이달 말까지 수요예측을 앞두고 있다.




아이티켐은 합성기술 기반의 정밀화학 기업으로, 의약품과 디스플레이(OLED) 전자재료 등을 생산한다.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는 물론 애플, LG, 삼성 등도 고객사다. 다만 매출의 약 45%가 특정 제약사에 집중돼 있으며, 지난해 손실로 인해 '테슬라 요건'을 적용받아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다. 수요예측은 오는 23일까지 진행되며, 공모가는 25일 확정된다. 희망밴드는 1만4500~1만6100원이다.


삼양컴텍은 방산 부문에 특화된 기업으로, 1973년 방산업체로 지정된 이후 지상 및 항공 무기를 생산해왔다. 지난해 영업이익 181억원, 순이익 165억원을 기록했다. PER 기준 희망공모가는 6600~7700원이며, 수요예측은 24~30일, 공모가 확정일은 8월 1일이다.


지투지바이오는 약효 지속성 의약품을 전문으로 개발 중이며, 기관 수요예측은 오는 25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다.


최근 상장한 기업들의 성과도 양호하다. '모듈러 건축 1호 상장사'로 주목받은 엔알비는 일반청약에서 3조원의 증거금을 끌어모았고, 공모가 역시 희망밴드 상단인 2만1000원에 결정됐다. 아우토크립트는 상장 당일 시초가가 공모가 대비 44.3% 급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스팩 시장도 활기를 띠고 있다. 디비금융스팩14호는 수요예측에서 1243.67대 1, 일반청약에서 493.8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공모가 상단인 2000원에 확정됐다. 22일 코스닥에 상장한다.


전문가들은 증시 반등이 공모시장 활황을 견인하고 있다고 본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6월 한 달간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각각 13.9%, 6.4% 상승한 것이 배경"이라며 “신규 상장 종목들의 주가 흐름도 대체로 양호했다"고 말했다.


박세라 대신증권 연구원은 “2분기 평균 수요예측 경쟁률은 1077대 1, 청약 경쟁률은 1206대 1"이라며 “하반기에도 IPO 수익률 환경은 우호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공모시장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6월 한 달간 8개사가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 데 이어, 7월 들어서만 인벤테라, 세미파이브, 쿼드메디슨, 카인사이언스 등 7개 기업이 예심을 접수했다. 업종 역시 반도체, 바이오, 우주항공 등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다만 8월부터는 기관투자자들의 심사 기준이 한층 강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앞으로는 기관 투자자들이 확약 없이 대규모 물량을 받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기업 실적과 사업성에 대한 검증이 더 엄격해지면서 수요예측 과정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