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항공 조종사 노동조합(JPU)·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ALPA‑K) OI. 사진=각 단체 제공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17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주항공 2216편 참사와 관련,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가 지난 19일 중간 브리핑에서 “조종사가 손상되지 않은 왼쪽 엔진을 꺼 사고가 확대됐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이에 조종사 단체 두 곳은 “편향된 책임 전가"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2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 조종사 노동조합(JPU)과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ALPA‑K)는 잇따라 성명을 발표하고 사조위에 비행 기록 장치(FDR)·조종실 음성 기록 장치(CVR) 등 모든 원자료 공개와 외부 전문가 참여를 요구했다.
제주항공 조종사 노조는 전날 성명을 통해 “사고는 다양한 기여 요인들이 얽힌 복합 사건인데도 사조위는 '조종사의 단순 오판'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사고 직후 양쪽 엔진 모두 조류 충돌 흔적이 발견됐다는 사조위 발표에 대해 '정상 엔진을 껐다'는 표현은 명백한 사실 왜곡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사조위 항공분과에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이 포함돼 있어 “조사 독립성이 무너졌다"고도 했다. 또 참사를 키운 핵심 요인으로 활주로 인근 로컬라이저 둔덕을 지목해 국토부와 공항 당국이 구조적 위험을 방치했다며 “사조위가 최종 보고서를 내기도 전에 특정 결론을 흘리는 행위는 법적 책임을 져야 할 사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ALPA‑K는 이날 배포한 두 쪽짜리 성명서에서 사조위와 국토부를 향해 △불투명한 조사 중단 및 FDR·CVR 등 전체 자료 즉각 공개 △유가족이 지정하는 민간 전문가를 조사 전 과정에 참여시켜 재검토할 것 △조류 충돌·로컬라이저 둔덕 등 근본 원인에 대한 국토부 책임 인정과 관련 법·규정 강화 △공항 구조물‧위험 요소 제거 계획을 구체적으로 공개하고 실행 방안을 제시할 것 등 네 가지를 촉구했다.
협회는 “사조위가 '조종사의 실수'라는 단일 요소로 사고를 단정지으려 한다"며 이를 “처음부터 조종사를 희생양으로 삼기로 설정함으로써 왜곡된 결론을 지었다"며 “국토부 산하 조직이라는 점 자체가 명백한 이해 충돌"이라며 독립 조사 기구로 개편할 것을 요구했다.
두 단체는 모두 조류 충돌·공항 인프라 결함 등 시스템 원인 조명과 조사 자료 공개·외부 견제 장치 확보, 사조위 구조 개편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조종사 개인에게 모든 책임을 뒤집어씌우려는 후진국형 방식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는 경고도 동일하다.
한편 사조위는 내년 4월 최종 보고서를 내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