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 로고
삼성전자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에서 23조원에 달하는 대형 계약을 따내며 '잭팟'을 터트렸다. 매 분기 수조원대 적자를 냈던 분야지만 글로벌 대기업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부진 탈출의 신호탄을 쐈다. 수익성 확보, 미국 공장 정상화, 고객 신뢰 회복 등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데 성공한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8억원 규모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다. 회사 지난해 총 매출액(300조8709억원)의 7.6%에 달하는 수준이다. 역대 반도체 부문에서 단일 고객 기준 최대 규모 수주이기도 하다.
계약 기간은 이달 24일부터 오는 2033년 12월31일까지다. 상대와 구체적인 내용은 경영상 비밀 유지 방침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인공지능(AI) 분야에 투자를 늘리고 있는 미국 빅테크 중 한 곳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해당 고객사가 테슬라라고 보도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계약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본다. 그동안 물량 확보와 수율 개선에 실패하며 매 분기 수조원대 적자를 기록했지만 8년짜리 안정적인 일감을 찾으면서 반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분기 4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최근 공시했다. 시장 기대치에 크게 미치지 못한 '실적충격(어닝쇼크)'이다. 파운드리 적자 등 여파로 반도체 분야에서 영업이익을 1조원도 내지 못한 것으로 추산된다.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전경.
미국 테일러 공장 정상 가동이 가능해졌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수주한 2∼4 나노 공정 AI 칩을 미국에서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텍사스주 오스틴에 2030년까지 370억달러(약 54조원)를 투자하기로 했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당초 목표는 지난해 말 가동이었지만 고객사 확보에 차질이 생겨 일정이 늦어졌다.
전세계 주요국들이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펼치는 와중에 IT·AI 기술 최전선인 미국에 안정적인 생산 거점을 마련하게 됐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는 평가도 일각에서 나온다.
이번 대규모 수주를 삼성전자의 첨단 공정 수율이 올라왔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미국 빅테크와 장기 계약을 맺으며 '고객 신뢰'를 회복한 만큼 추가적인 일감 수주 가능성도 점쳐진다.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판도가 대만 TSMC '독주' 체제로 굳어지는 와중에 들려온 '잭팟' 소식이라는 점도 포인트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순위는 TSMC(67.6%)가 1위, 삼성전자(7.7%)가 2위다. 중국 SMIC는 6%로 3위를 달리고 있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TSMC가 앞서가고 중국 기업들이 쫓아오는 상황에 기술력을 인정받는 성과를 낸 셈이다.
특히 반도체 부문 경쟁 상대인 인텔이 최근 대규모 구조조정과 함께 파운드리 사업을 대폭 축소하고 있어 삼성전자를 향한 고객사들의 시선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인텔은 독일과 폴란드에서 계획했던 신규 파운드리 공장 건설을 취소했다.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에서는 테스트 및 조립 공정을 통합하기로 했다.
인텔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전부터 '팀 아메리카' 전략을 구사하며 미국 고객사들을 확보하려는 경영 전략을 펼쳐왔다.
재계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사법리스크'를 벗고 경영에 전념하는 환경이 조성된 만큼 향후 수주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 회장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등과 자주 교류하며 '글로벌 인맥'을 쌓아왔다. 이달 초에는 전세계 재계 거물들의 사교 모임인 '선 밸리 콘퍼런스' 행사에도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9년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133조원 가량을 투자해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1위 자리에 오른다는 게 골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