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 로고
테슬라와 23조원 규모 '빅딜'을 성사시킨 삼성전자가 다음으로 풀어야 할 숙제는 '엑시노스'가 될 전망이다.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역량을 강화할 경우 파운드리 일감 확보와 모바일경험(MX) 부문 수익성 극대화를 동시에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사장은 최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엑시노스 2600'을 갤럭시 시리즈에 탑재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소비자에게 가장 우수한 성능과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모든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스마트폰 분야 최강자 중 하나지만 AP는 퀄컴, 미디어텍 등 빅테크에 의존하고 있다. 올해 초 나온 갤럭시 S25 시리즈 역시 '엑시노스 2500' 대신 퀄컴의 '스냅드래곤8 엘리트'를 탑재한 채 나왔다.
문제는 삼성전자가 AP 자체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하면서 천문학적인 금액을 원자재 구입비로 쓰고 있다는 점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모바일 AP 매입에 10조9326억원을 썼다. 스마트폰, 가전 등을 모두 포함한 디바이스경험(DX)부문 전체 원재료 매입액(67조7958억원)의 16.1% 수준이다. 회사의 작년 MX부문 전체 영업이익(10조6000억원)보다 높은 금액이기도 하다.
가격도 상승 추세다. 지난해 삼성전자가 매입한 모바일 AP 가격은 전년 대비 약 7% 상승한 것이다. 올해 1분기에는 전년 연간 평균과 비교해 매입비가 19% 또 뛰었다. 삼성전자의 1~3월 모바일 AP 매입액은 4조7891억원에 이른다.
삼성전자가 엑시노스를 탑재할 경우 단순 계산해도 수조원대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나는 셈이다. 삼성전자가 최근 '갤럭시 Z플립 7'을 출시하며 가격 인상을 최소화한 배경에도 엑시노스가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 엑시노스 칩 이미지.
AP 역량 강화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분야에도 희소식이다. 올해 하반기 엑시노스 2600을 2나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공정을 통해 양산한다는 계획을 세워뒀기 때문이다.
GAA는 성능 향상과 전력 효율 개선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반도체 제조 기술이다. 트랜지스터의 전류 통로인 '채널'을 네 면에서 게이트가 감싸는 게 핵심이다. 이를 통해 기존 방식보다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2022년 업계 최초로 3나노 GAA 공정 양산에 돌입했다.
삼성전자가 엑시노스 2600 수율을 끌어올리면 안정적인 파운드리 공장 일감을 확보하는 동시에 글로벌 고객사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계기도 마련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조성된다. 실제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대형 수주 계약을 체결한 것도 GAA 기반 기술에 대한 신뢰도 상승이 일부 작용했다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온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경쟁력을 계속 강화하며 고객사들을 끌어들여야 하는 상황이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순위는 TSMC(67.6%)가 1위, 삼성전자(7.7%)가 2위다. 중국 SMIC는 6%로 3위를 달리고 있다. TSMC는 앞서가는데 중국 기업들까지 쫓아오고 있는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갤럭시 S26 시리즈 일반 모델에 엑시노스 2600 탑재가 점쳐진다"며 “엑시노스 성능이 더 향상되면 삼성전자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