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이재용 미국行···한미 관세협상 ‘지원사격’ 나선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9 16:46

테슬라 ‘빅딜’ 발표 다음날인 29일 출국

반도체 등 첨단 기술 경쟁력 강조할 듯···‘글로벌 인맥’도 기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9일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워싱턴으로 출국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9일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워싱턴으로 출국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으로 출국했다. 다음달 1일 관세 발효 시한을 앞두고 긴박하게 펼쳐지고 있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힘을 보태기 위해서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날 오후 3시50분께 김포공항을 통해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했다. 지난 17일 대법원 무죄 판결이 나온 이후 12일만에 첫 공식 외부 일정이다.


이 회장은 현지 정재계 중 인사들과 만나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 및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기술 협력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파운드리 공장을 운영 중이다. 텍사스주 테일러에는 2030년까지 최첨단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370억달러(약 54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한 상태다.


삼성전자는 전날 테슬라와 22조8000억원 규모로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테일러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칩 AI6를 생산할 방침이다.




재계는 이번 계약이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부흥 정책과 투자 유치 전략과 맞아떨어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추가 계약에 따른 가능성도 열어둔 만큼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파워'가 한미 협상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회장이 '글로벌 인맥'을 다수 보유했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미국 재계 인사들이 정부와 직간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데다 자신들 사업 추진에 유리한 경우 특혜를 달라고 의견을 개진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등과 자주 교류해왔다. 이달 초에는 글로벌 재계 거물들의 사교 모임인 '선 밸리 콘퍼런스' 행사에 참석했다.


우리 정부는 미국에서 배수진을 치고 협상에 임한다는 각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시점으로 예고한 내달 1일(현지시간)을 앞두고 무역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영국 스코틀랜드를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국 측 인사들과 다각적인 접촉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현 외교부 장관은 오는 31일 각각 베선트 재무장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등을 만날 예쩡이다.


정계 역시 이 회장이 이번 협상에 다양한 형태로 '지원사격'을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현재 일본·유럽연합(EU) 등이 잇따라 기존보다 낮은 15%의 관세율로 협상을 타결해 우리 측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일본과 EU는 미국에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히고 자국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