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태민

etm@ekn.kr

이태민기자 기사모음




“믿고 거래하세요”…네이버 ‘안심보장’ UGC로 확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5 17:16

도입 후 위조상품 사전 대응률 96%

ㅁㅁ

▲네이버의 안심보장 프로그램 성과 지표.

네이버는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커머스에서 커뮤니티 기반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로 확대했다고 5일 밝혔다. 다음달부터는 '지식재산권 클린 프로그램'도 새로 도입할 방침이다.


회사에 따르면, 현재 카페·밴드에선 위조상품 관련 키워드를 감지해 검색 결과 노출을 제한하고, 해당 키워드를 사용하는 커뮤니티 개설이나 게시물 등록도 사전에 차단하는 기술적 조치가 적용되고 있다.


블로그·카페에선 게시글 탐지 도구를 정교화해 위조상품 게시글을 사전 차단하고 있으며, 커뮤니티 단위 제재도 강화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해 10월부터 운영해 왔다. 지난 7월 기준 쇼핑 서비스 내 위조상품에 대한 사전 대응률은 95.6%로 나타났다. 카페·밴드에서의 위조상품 관련 신고는 전년 대비 50% 이상 줄었다.


AI 기반 탐지·모니터링 시스템과 강도 높은 입점 정책을 통해 성과를 이뤘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네이버는 기술 조치를 통해 스마트스토어 입점 단계에서부터 위조 이력이 있는 판매자를 사전 차단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용 의심몰 탐지 강화 △원스트라이크 아웃 제도 △구매보호조치 등 정책도 시행하고 있다. 감정 전문기관 및 권리사 300여 곳과 협력해 위조상품 판별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올해 안에 밴드 내 가품 신고 접근성을 높이고, 자동 탐지 기능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9월 1일부터는 지식재산권 클린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이는 상표권·저작권·특허권·초상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를 차단하는 프로그램이다. 권리자의 동의 없이 등록되거나 판매되는 상품에 대해 단계적 제재를 적용한다.


같은 판매자가 주 20건 이상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사실이 확인될 경우, '주의→경고→제재' 순으로 조치된다. 이 같은 행위가 반복되면, 전체 판매 상품이 일정 기간 쇼핑검색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유봉석 네이버 정책·RM 부문장은 “축적된 기술력과 정책 경험을 토대로 안전한 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UGC 전반으로 확장해 건강한 플랫폼 생태계를 만들고, 서비스 신뢰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