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인호

sih31@ekn.kr

송인호기자 기사모음




신상진표 성남형 ‘시장에게 바란다, 바로문자 서비스’, 전국 지자체 벤치마킹 사례로 주목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6 08:19

화성시 운영 노하우 공유..현재까지 총 5만6764건 문자 접수

성남시

▲신상진 성남시장이 시민과의 새해인사회에서 업무용 휴대폰을 들고 바로 문자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공=성남시

성남=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성남시가 운영 중인 신상진표 '시장에게 바란다, 바로문자 서비스'가 타 지방자치단체의 벤치마킹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광명시 시민소통관의 방문에 이어 지난 1일에는 화성시 행정종합관찰관 관계자들이 시 소통관실을 찾아 해당 서비스 운영 노하우를 공유받았다.


이번 방문은 화성시가 지난달 시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부서를 신설하면서 시의 성공 사례를 참고하고자 마련한 자리였다.


화성시 측은 “바로문자 서비스에 대한 시민 만족도가 높다는 얘기를 듣고 직접 확인하고자 했다"고 전했다.


다른 지자체들이 QR코드, 전화, 방문 등으로 접수된 민원을 각 부서에서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인 데 비해 시는 총괄형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시민이 시장 공용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내면 관련 부서에서 답변을 작성하고 이를 소통관실이 최종 확인한 뒤 시민에게 전달하며, 사후 관리까지 전담하는 구조다.


시민의 참여와 그에 따른 성과도 뚜렷하다.


서비스가 시작된 2022년 9월 1일부터 현재까지 총 5만6764건의 문자가 접수됐고, 이 중 5만6065건이 답변 완료되어 응답률은 약 98.8%에 이른다.


분야별로는 건축·주택 분야가 1만9532건, 교통·도로 분야가 1만63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 바로문자 서비스를 통해 처리된 대표 민원 사례로는 '야탑동 아테라 아파트 인근 변압기 이설'과 '장마철 반려견 놀이터 운영 확대' 등이 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바로문자 서비스는 단순한 민원 처리 도구가 아니라, 시민과 행정이 함께 만들어가는 소통의 상징"이라며 “앞으로도 체계적이고 촘촘한 시스템을 통해 시민 만족도를 더욱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시, AI 기반 도로관리시스템 도입...포트홀 예방

성남시

▲AI 도로 위험정보 단말기 및 탐지 데이터 이미지 제공=성남시

한편 시는 6일 포트홀과 도로 위 낙하물 등 위험 요소를 인공지능(AI) 기술로 실시간 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AI 기반 도로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역 시내버스에 AI 도로 위험정보 수집 단말기를 부착해 주행 중 도로 상태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정밀 분석·가공해 웹과 모바일 웹을 통해 도로 보수원에게 실시간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해당 시스템은 지난달부터 운영을 시작해 내년 1월까지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 민원 중심의 도로관리 체계에서 벗어나, AI를 활용한 과학적이고 선제적인 관리 체계로 전환함으로써 시민 불편은 줄이고 도로 안전은 높이겠다는 취지다.


위험정보 수집 장치는 총 53대로 33-1번, 50번, 52번 등 14개 주요 시내버스 노선에 설치되며 버스가 다니지 않는 구간은 드론을 활용해 도로 위험 요소를 탐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성남시 전역을 대상으로 한 입체적이고 정밀한 도로 관리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시스템의 실효성을 검증하고 성과를 분석한 뒤 향후 운영 지역을 확대하고 기능 고도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실시간 도로 위험 대응 체계는 시민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라며 “AI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도로관리는 교통사고 및 정체 예방은 물론, 도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등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