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탁만

hpeting@ekn.kr

조탁만기자 기사모음




김대식 의원 “교단 떠나는 젋은 교사…지방서 더 뚜렷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8 05:07

김 의원, “교사권위 회복하고 합당한 보상 및 제도적 지원 마련해야”
민주당 부산시당, “‘해수부 부산 이전’ 두고 말 바꾸지마”


김대식 의원

▲김대식 의원.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교직에 들어선지 5년도 채 넘기지 못하고 그만두는 교사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부산 사상구)이 교육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중도퇴직 교원 수가 2020년 6704명에서 2024년 7988명으로 19% 증가했다.


특히 교직 경력 5년 미만 저연차 교원 중도퇴직자는 같은 기간 290명에서 380명으로 31% 증가해 전체 중도퇴직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4.3%에서 4.8%로 높아졌다.


저연차 교원 중도퇴직 비율은 서울, 경기과 같은 수도권보다는 충남, 전남, 경북과 같은 지방에서 뚜렸했다.


반면 부산, 강원, 전북은 중도퇴직자 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도 개선 효과보다 통계 변동에 가까운 것으로 분석된다.




김대식 의원은 “교권 추락,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악성 민원 및 가중된 행정 업무로 젊은 교사들의 교단 이탈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지방의 높은 중도 퇴직률은 인력 불균형으로 이어져 교육격차를 심화시키고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한다"고 말했다.


이어 “교사의 권위를 회복하고 합당한 보상 및 제도적 지원을 마련하여 교직의 사명감을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 부산시당, “이중플레이로 부산 시민 기만하지 말라""

1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로고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이재용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수석대변인은 7일 성명을 내고 “국민의힘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두고 이중플레이로 부산 시민을 기만하지 말라"고 밝혔다.


또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는 단순한 부처 이전이 아니라, 국가균형발전의 핵심이자 해양 수도 부산 건설의 출발점이다. 대한민국의 미래와 부산의 생존이 걸린 중대한 국가 과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도, 지난 8월 4일 김문수,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는 일부 지역의 표심을 의식해 '선심성 이전'이니 '이율배반'이니 하는 표현까지 써가며 해수부 부산 이전을 폄훼하며 노골적으로 반대했다. 이는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정신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행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더욱 경악스러운 것은 바로 다음 날인 8월 5일, 김문수 후보가 부산을 방문해 해수부 부산 이전을 '반대할 필요가 없다'라며 뻔뻔하게 말을 바꿨다는 점이다"고 했다.


그는 또 “단 하루 만에 입장을 뒤집는 이중적 태도로 부산 시민을 기만하고 우롱하는 모습이, 바로 국민의힘이 부산을 대하는 진짜 태도이다"고 비판했다


이어 “앞에서는 사탕발림으로 속이고, 뒤에서는 뒤통수를 치는 이중플레이로 부산 시민을 속여온 결과가 바로 부산의 위기이고 부산의 현실이다"지적했다.


그러면서 “부산 시민과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해수부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어떤 정략적 접근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해수부의 조속한 이전과 해양수도 부산 건설,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해 끝까지 책임 있게 나아갈 것"이라고 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