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장대비 내리는 석유화학...은행권, 구조조정 방향성 ‘주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19 15:50

여천NCC, 은행권 익스포져 1.42조원
석유화학 불황에 은행권도 ‘긴장’ 지속

“업권 구조조정 필요성...채무불이행 우려”
“여신심사 강화, 원자재 가격도 모니터링”

정부, 20일 석유화학 구조개편 발표
설비감축 인센-정책자금 투입 거론

구윤철 부총리

▲정부는 이달 20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석유화학 구조 개편 방안을 발표한다.

정부가 조만간 석유화학 구조개편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그 내용에 대해 시중은행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은행권은 최근 석유화학 산업의 업황 악화로 구조조정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면서 해당 업종에 대한 리스크 등급을 상향 조정하고, 전반적인 동향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


현재 석유화학 산업은 소위 '장대비'가 내리는 상황으로, 은행권이 대출을 축소하거나 담보권을 행사할 경우 자칫하다 금융권으로 리스크가 전이될 수 있어 시중은행이 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많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결국 정부가 각종 인센티브를 통해 석유화학 산업의 생산 설비 감축 및 폐쇄 등을 어떻게 이끌어낼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산업은행을 필두로 정책금융자금도 투입될 수 있어 은행권도 긴장하는 분위기다.



은행권, 석유화학 유관산업 '관리산업' 지정

19일 NICE평가정보에 따르면 최근 부도 위기에 몰렸던 여천NCC에 대한 은행권 익스포져는 이달 현재 총 1조4200억원이다. 은행별로 보면 산업은행이 4255억원으로 가장 많고, 농협은행 772억원, 수출입은행 700억원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여천NCC 익스포져는 8470억원이다. KB국민은행이 3903억원으로 가장 크고, 우리은행 1805억원, 하나은행 1626억원, 신한은행 1136억원이다.


여천NCC는 최근 공동 대주주인 한화그룹의 자금 대여와 DL그룹의 유상증자로 부도 위기를 넘겼지만, 석유화학 산업이 글로벌 수요 부진, 중국발 공급 과잉 등으로 위기에 빠지면서 전반적인 구조개편이 시급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은행권은 아직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가 대출 부실로 전이되진 않았지만, 석유화학 업종의 업황과 건전성 등을 고려해 유관산업을 관리산업으로 지정하는 식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석유화학 산업은 이미 작년부터 불황에 빠졌기 때문에 석유화학 산업 전반에 대한 여신심사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석유화학 업종의 업황 악화로 구조조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채무불이행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며 “(현재 은행권은) 석유화학 산업에 대한 동향은 물론 원자재 가격 변동, 글로벌 수요 회복 등 주요 요인도 함께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구조조정 본격화, 정책자금 투입될까

여천NCC 제1사업장 야경.

▲여천NCC 제1사업장 야경.

은행권 입장에서 석유화학 산업의 대출을 축소하거나 담보권을 행사하기에도 쉽지 않다. 석유화학 산업의 생산설비는 환금성이 떨어지는데다 업권 전반에 구조조정이 시급한 지금과 같은 분위기에서는 담보물에 대한 매수자를 찾는데도 난항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석유화학 산업처럼 장대비가 내리는 분위기에선 은행권이 우산을 뺏을 수 없다"며 “우산을 뺏었다가는 사회적 비난이 만만치 않을 뿐더러 은행도 같이 장대비를 맞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가운데 정부는 이달 20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석유화학 구조 개편 방안을 발표한다. 기업 간에 이해관계가 복잡해 조율이 쉽지 않은 가운데 정부가 생산 설비 감축 및 폐쇄, 사업 매각 등 사업 재편을 어떻게 유인할지가 관전포인트다. 이 과정에서 산업은행을 중심으로 정책금융자금 지원 가능성도 거론된다.


해당 사안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현재 국내 석유화학 설비가 이른바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한 것은 과거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이 자체 생산을 늘리고, 물건을 저가에 납품 중인 반면 우리나라는 내수 시장이 작아 석유화학 제품을 자체적으로 소화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정부 주도 하에 석유화학 업계의 생산설비를 감축하거나 통폐합 하는 식으로 적정 물량을 유지해야 하는데, 기업 간에 이해관계가 달라 어떠한 인센티브로 유인책을 마련할지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