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규빈

kevinpark@ekn.kr

박규빈기자 기사모음




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 1.8조 ‘한국형 전자전기’ R&D 사업 도전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21 16:03

대한항공, 군용·민항기 정비 통한 플랫폼 통합·감항 인증 역량 보유

LIG넥스원, KF-21·해군 함정·백두 정찰기까지 이어온 전자전 능력

방산업계 “한국형 전자전기, 양사 협력 시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

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의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 예상도. 사진=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의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 예상도. 사진=대한항공 제공

21일 대한항공은 LIG넥스원이 함께 대한민국 최초의 전자전기(Block-I) 체계 개발 사업 수주전에 본격 참여한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오는 9월 초 제안서를 최종 제출할 예정으로, 국산 전자기전 능력 확보를 위한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총 1조7775억 원 규모의 대형 방위 산업 프로젝트로,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전 임무장비를 탑재·통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자전기는 전시에 적 방공망과 통신 체계를 무력화·교란해 아군 작전을 지원하고 전장 주도권을 확보하는 핵심 자산이다. 현재 미국이 추진 중인 EA-37B 컴파스 콜 외에는 전례가 드문 고난도 사업으로, 국내 방산 역량 도약의 시험대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당초 공군은 신규 기체 개발 대신 기존 플랫폼 개조 방식을 선택했다. 고도·속도·작전 지속 시간 등 군의 요구 조건을 감안할 때 검증된 민항기를 기반으로 개조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빠르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은 이번 사업에서 체계 통합과 기체 개조·제작을 맡고, LIG넥스원은 전자전 장비 개발 및 탑재를 담당한다.


전자전기는 적 전자 장비나 레이더, 통신망을 무력화하는 '전자 공격(ECM)'과 함께, 아군의 작전 항로를 개방하고 상황 인식을 지원하는 '전자 지원(ESM)' 기능까지 포함하는 특수 임무기이다. 복잡한 전자기 스펙트럼 환경에서 아군의 네트워크 중심 작전을 뒷받침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항공은 지난 50여 년간 군용기 체계 개발과 성능 개량, 민항기 개조·정비 분야를 두루 수행하며 플랫폼 통합과 감항 인증 역량을 쌓아왔다. 보잉 777과 A330 여객기 화물기 개조, P-3C 해상 초계기 성능 개량, 대통령 전용기 운영 지원 등 전례가 이를 입증한다. 또한 김해공항 비행 시험 인프라와 정부 인증 대형 격납고, 수천 대에 이르는 항공기 개조 경험을 기반으로 본 사업 역시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LIG넥스원은 47년간 축적한 전자기전 핵심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유일의 지향성 전자 공격 기술 실증 이력을 갖고 있다. 특히 △KF-21 통합 전자전 장비 △해군 함정 전자전 장비 △신형 백두 정찰기 체계 등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며 전자기전 장비 분야에서 독보적 위상을 확보했다. 최근에는 말레이시아 FA-50 RWR 수출과 페루 해군 함정 전자전 솔루션 계약까지 따내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증명했다.


이번 사업은 단순히 어떤 기체를 쓰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전자전 장비를 탑재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미국·독일·튀르키예 등 주요국 역시 특수 임무 항공기 개발에서 기체보다 전자전 수행 체계 통합에 방점을 두고 있다.


방산업계 안팎에서는 LIG넥스원이 확보한 임무 장비 개발력과 대한항공이 가진 개조·통합 역량이 결합될 경우 세계적으로 경쟁 가능한 '한국형 전자전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전자전기 사업은 국내 최초이자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도전"이라며 “축적된 기술력과 인프라로 우리 군 첨단 전력 확보에 기여하고, 향후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수출 기회까지 창출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양사 컨소시엄의 성패는 오는 연말 이후 평가 과정에서 결정될 예정으로, 수주가 확정되면 한국군의 전자기 스펙트럼전 수행 능력과 방산 산업 위상은 크게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