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공주시에 따르면 지난 22일 시청 대백제실에서 최원철 시장과 충남콘텐츠진흥원, 추진위원·자문위원, 관계 기관 등 30여 명이 모여 '유구읍 직물폐공장 문화예술공간 조성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제공=공주시
공주=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공주시가 사라진 직물산업의 흔적을 문화예술로 되살린다. 유구읍의 옛 직물공장이 지역문화 거점으로 다시 태어난다. 산업 쇠퇴의 흔적을 넘어 문화와 예술을 매개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도시재생 프로젝트다.
25일 시에 따르면 지난 22일 시청 대백제실에서 최원철 시장과 충남콘텐츠진흥원, 추진위원·자문위원, 관계 기관 등 30여 명이 모여 '유구읍 직물폐공장 문화예술공간 조성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민선 8기 공약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직물공장을 전시·공연장, 팝업매장, 주차장 등으로 리모델링해 시민과 방문객이 찾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상지는 유구읍 녹천리 26-8번지 일원 20필지, 총 면적 1만2348㎡다. 현재 4필지(7937㎡)를 확보했으며, 나머지 부지는 순차적으로 매입한다. 총 사업비는 107억 원 규모. 2024년 국비 공모사업 선정으로 35억 원을 확보했고, 공공건축심의도 마쳤다. 올해 안으로 설계용역 업체를 선정해 2026년 상반기까지 설계를 마치고 착공,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지속 가능한 운영 역시 중요한 과제다. 시는 문화예술공간만이 아니라 공주시가 추진 중인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과 연계해 활용 방안을 마련 중이다. 단발성 공간이 아니라 지역문화 생태계의 허브로 작동하도록 기획한다는 구상이다.
최원철 시장은 “유구읍에는 과거 직물산업의 흔적을 보여주는 폐공장이 28곳 있다"며 “이번 사업은 그 중 한 곳에 불과하지만 문화재생의 첫 시발점이 되어 공주 서북권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