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원곤 광명시 도시주택국장 2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정책브리핑에서 '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원도시 광명' 설명. 제공=광명시
광명=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광명시가 도시 공간 전체를 정원으로 만드는 '정원도시 광명'을 실현하기 위한 5개년 계획(2025~2029년)을 본격 가동한다.
김원곤 광명시 도시주택국장은 2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원도시 광명'을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열고 “정원도시 5개년 추진계획은 시민 삶의 방식과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변화시키는 거대한 도전"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올해부터 2029년까지 로드맵에 따라 시민이 적극 참여하고, 소통하고, 향유하는 시민 주도 정원도시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광명시는 그동안 정원이 건강, 복지, 교육, 문화, 기후대응을 아우르는 새로운 생활 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조례 개정, 비전 선포, 시민 주도 정원문화 확산 등 다양한 기반 마련에 힘써왔다.
이를 토대로 도시 모든 공간이 정원이 되고 시민 삶과 함께 숨 쉬는 정원도시를 실현하고자 올해부터 2029년까지 5개년 계획을 추진한다.

▲광명시 2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 개최. 제공=광명시
5개년 로드맵은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을 비롯해 △4대 산 산림형 시민정원 조성 △키즈가든 조성-놀이정원사 양성 △시민정원사 양성 △시니어 친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원도시 실현 등 6대 중점 과제로 구성됐다.
◆ 정원도시 실현 출발점,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 정원도시 실현을 위한 출발은 광명 동쪽을 지나는 안양천의 지방정원 조성이다. 안양천이 흐르는 광명시-안양시-군포시-의왕시 등 4개 지자체는 안양천을 소통과 쉼, 문화와 자연이 공존하는 지방정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2023년 12월 협약을 시작으로 협력하고 있다.
올해 3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현재 광명 구간 일부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광명시는 안양천 지방정원을 시민 참여형 정원으로 만들 계획이다. 시민이 정원을 가꾸고 휴식과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해 시민 삶의 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다.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일부 구간은 시민, 학생, 작가 등 다양한 주체가 조성하며, 향후 광명시 정원박람회 중심 무대로 활용할 예정이다. 시민정원사 손길이 깃든 정원이 축제와 교육 공간으로 진화하는 셈이다.
◆ '4대 산' 활용, 일상 속 산림형 시민정원 조성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도시 동쪽 정원이 안양천이라면, 도시 중앙 정원은 광명 남북을 가로지르는 도덕산-구름산-가학산-서독산 등 4대 산이다. 광명시는 4대 산을 활용해 시민 생활 속에 함께 숨 쉬는 산림형 시민정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생활권 산림을 자연형 정원으로 정비해 도심과 숲을 잇는 치유-원예 공간을 시민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 숲 생태계를 보전하면서도 시민이 자유롭게 접근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시민이 참여하는 저비용 원예 체험 공간을 마련해 일상 속 원예문화 확산과 주말 가족형 여가활동 거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시민정원사 프로그램, 치유정원 프로그램 등과 연계해 정원을 활용한 정서 회복과 생태교육 기능도 동시에 수행한다.
◆ '키즈가든' 조성, 놀이정원사 양성프로 운영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정원문화를 누리고 가꿔나갈 미래 세대인 어린이가 안전하게 뛰놀고 자연을 배우는 공간인 '키즈가든'을 조성해 정원을 생태 감수성과 상상력을 키우는 놀이 기반 교육 공간으로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정원 구성과 놀이 활동이 어우러진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정원 공간 활용도를 한껏 높인다. 이와 함께 '놀이정원사 양성 프로그램'도 운영해 정원 놀이터에 특화된 전문가를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 정원도시 주체세력 '시민정원사' 양성 확대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시민 주도 정원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시민정원사 양성을 확대한다. 광명시는 2022년부터 시민정원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시민 역량을 강화해 왔다. 현재까지 169명이 이론 과정을 수료했고, 이 중 55명이 시민정원사로 활동하며 도시 곳곳을 자연으로 물들이고 있다.
올해 6월 열린 정원도시 비전 선포식에선 전문활동가, 시민정원사, 학부모회, 각 동 유관단체 대표 등 70여명으로 구성된 정원추진단이 공식 발족해 시민 주도 정원도시 실현 의지를 강화했다.
향후에는 정원 입양제, 정원활동 포인트제, 정원 운영 권한 부여 등 다양한 동기를 부여해 정원에 대한 시민 애정과 헌신이 정원문화 조성에 중심축으로 기능하도록 촉진할 예정이다.
◆ 시니어 맞춤형 정원 조성-일자리 창출 도모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점을 감안해 정원을 시니어 세대를 위한 공간으로 마련할 준비를 하고 있다.
경로당 등 복지시설 내 실내 치유정원을 조성하고 시니어정원봉사단을 구성해 고령층의 사회적 소속감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아울러 저강도 순환근무 방식으로 시니어 맞춤형 정원 일자리를 운영해 노인이 무리 없이 참여하며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 모델을 만들 예정이다.
◆ 지역사회와 함께 만드는 ESG 정원도시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는 정원도시 실현 과정에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를 결합해 추진력을 강화하고 있다.
작년 지역사회 공공기관, 민간기업, 사회단체가 ESG 가치 실현을 위해 구성된 '광명 ESG 액션팀'과 협력해 정원도시를 지속가능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이끄는 모델로 발전시키고 있다.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특히 '광명 ESG 액션팀' 소속 기아 오토랜드 광명은 지난 11일 1억원을 기부하며 치매-우울감 등 노인 정신건강 문제 개선을 위해 '어르신 마음정원' 조성에 힘을 보탰고, 같은 액션팀 소속 대한적십자사는 조성 사업 추진을 맡는다. 오는 10월 공사를 시작해 11월 중 시민에게 개방될 예정이다.
◆ 내년 지방정원 조성… 2029년 국가정원 지정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는 5개년 계획을 시작하는 올해 정원도시 비전 '삶이 예술이 되는 곳, 정원도시 광명'을 공식 선포했고,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을 위한 첫 단계로 안양천 찬빛광장에서 햇무리 육교 앞 징검다리 구간까지 시범 공사를 시작했다.
지난달에는 '광명시 정원문화 조성 및 진흥 조례'를 전면 개정해 정원문화 진흥계획 수립, 정원지원센터 설치-운영, 정원문화 진흥위원회 설치, 지방정원 조성-운영 방향 등에 대한 조문을 신설하며 정책 추진 기반을 강화했다.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 27일 정원도시 정책 언론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내년에는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을 위한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며 안양천이 국가정원으로 나아가는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2027년에는 안양천 지방정원 등록을 본격 추진하고, 2028년에는 4대 산에 산림형 시민정원을 본격 조성하고, 2029년에는 국가정원 지정에 출사표를 던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