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리튬가격 저점서 크게 올랐지만…‘이것’전까지 찐바닥 모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04 14:02
리튬

▲리튬(사진=로이터/연합)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 가격 상승세가 유지되면서 3년 가까이 이어지던 하락세에 마침표를 찍은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확산하고 있다. 리튬 기업들에 대한 월가의 투자의견도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관련주들도 고공행진 중이다. 다만 리튬 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이 아직 해결되지 않아 리튬 가격에 대한 낙관론이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온다.


4일 한국광해공업공단의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에 따르면 탄산리튬 가격은 전날 1kg당 73위안을 기록했다. 지난달 20일 기록된 1년래 최고가인 86위안보다 가격이 17% 가량 낮지만 2021년 이후 최저가인 지난 6월의 57.7위안 대비 27% 가까이 오른 수치다.


리튬 가격은 세계 최대 배터리기업 중국 CATL이 리튬 광산 운영을 중단한다는 소식이 나온 이후 본격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CATL은 중국 장시성 이춘시에 위치한 대형 리튬 광산인 젠샤워 광산 운영을 지난달부터 최소 3개월 중단하기로 했다.


CATL의 채굴 허가가 만료된 이후 나온 결정으로, 업계에서는 '내권식'(제살깎아먹기) 경쟁을 관리·단속하겠다고 강조해온 중국 당국이 이같은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를 계기로 중국 내 다른 광산에서도 운영이 중단될 가능성이 제기돼 리튬 가격을 짓누르던 공급과잉 문제가 해소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으로 이어졌다.


글로벌 증시에선 리튬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 최대 리튬 생산업체인 알버말 주가는 지난 한 달간 16.85% 급등했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SQM, 시그마 리튬, 리튬 아메리카스 등의 주가도 같은 기간 각각 20%, 18.7%, 7.92% 상승했고 홍콩증시의 강봉리튬(+18.99%), 호주 증시의 필바라 미네랄(+39.35%) 등도 강세다.


리튬 가격과 연동해 움직이는 대표 상장지수펀드(ETF)인 '글로벌 X 리튬 앤드 배터리 ETF'(티커명 LIT) 주가의 1개월 주가 상승률도 13%에 달한다. 해당 ETF는 알버말, SQM, 톈치리튬, CATL, 삼성SDI, 에코프로비엠 등을 담고 있다.


리튬 관련주에 대한 투자의견 또한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는 지난주 보고서를 내고 알버말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매도'에서 '중립'으로 상향 조정했고 목표 주가 또한 62달러에서 89달러로 대폭 높였다. UBS는 9월까지 중국 이춘시에 위치한 7개의 리튬 광산들이 추가로 운영이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면서 내년 탄산리튬 가격이 톤당 10만위안까지 오를 것을 기본 시나리오로 전망했다.


UBS는 또 내년에 리튬 공급이 약 6% 과잉될 것이란 기존 전망을 철회하면서 오히려 10만톤의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고 2028년까지 스포듀민(리튬 원광) 가격이 최대 32%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5

▲올해 중국 탄산리튬 가격 추이(자료=한국광해공업공단의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

일각에선 리튬 가격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온다.


마켓인사이더에 따르면 최근 미국 증권사 키뱅크의 알렉시 예프레모브 애널리스트는 리튬 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면서 중국의 공급차질이 리튬 가격을 상승시킬 것이란 기대감은 근본적으로 취약하다고 주장했다.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중국의 탄산리튬 재고가 올해 초 11만5000톤에서 5월까지 15만톤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호주 투자자문사 디스커버리 얼러트에 따르면 현재 중국 리튬 원재료 재고가 12개월 전과 비교해 25% 가량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예프레모브 애널리스트는 또 중국 전기차 판매량이 둔화될 수 있다며 리튬 수요가 향후 6~12개월 간 하방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로이터통신은 시장조사회사 로 모션 자료를 인용해 7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동월대비 21% 증가해 올 1월 이후 가장 저조한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중국에서 전기차 판매량이 12% 증가한 것으로 그쳐 올 상반기 평균치인 36%를 크게 밑돌았다.


과다 출혈 경쟁을 막겠다는 중국 정부의 노력이 이어질지 미지수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 정치는 분석하기 어렵다"며 “중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 전기차 시장이 성장해 리튬 수요가 회복하는 것이 최상의 희망"이라고 짚었다.


석유전문매체 오일프라이스닷컴 역시 중국 정부의 향후 움직임이 불확실하다며 “예상했던 것 만큼 공급이 줄어들지 않으면 시장심리가 다시 뒤집힐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고 전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1위 전기차 기업 비야디(BYD)가 올해 전기차 인도량 전망치를 기존 550만대에서 460만대로 하향 조정했다고 보도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