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조 인공지능 전환(AX) 얼라이언스 출범식'에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인공지능(AI)을 제조산업 현장에 적용해 오는 2030년까지 100조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조 AX 얼라이언스' 출범식에서 제조 AI 전환(M.AX) 목표를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참여한 이번 제조 AX 얼라이언스에 10개 산업 분과를 두고 출범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공동 위원장을 맡아 민관 협력을 이끈다. 얼라이언스에는 국내 기업과 대학·연구기관 등 1000개 이상이 참여했다.
10개 분과 얼라이언스는 △AI 팩토리 △AI 제조서비스 △AI 유통·물류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자율운항선박 △AI 가전 △AI 방산 △AI 바이오 △AI 반도체 등이다.
각 분과는 업종별 대표 제조기업과 AI 전문기업, 부품·소재 기업, 대학·연구기관이 참여해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동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 가운데 AI 팩토리 분과는 LG전자, 현대차, 포스코, 대한항공, SK에너지, LIG넥스원 등 대기업과 AI 설루션 기업, 로봇 기업, 학계, 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해 2030년까지 AI 팩토리 500개 보급을 목표로 제조 특화 AI 개발에 나선다.
AI 유통·물류 분과엔 이마트, 롯데마트, 현대백화점, 현대차, HL만도, LG전자 등이 참여해 오는 2028년 유통·물류 지능화 매장 테스트베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밖에 AI 제조서비스 분과는 2030년 제조업 AI 활용률 70% 달성을, 휴머노이드 분과는 2029년 휴머노이드 연 1000대 이상 양산 돌입을, 자율주행차 분과는 2028년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플랫폼 공급을 각각 목표로 활동한다.
이같은 제조 AX 라이언스의 목표 달성을 위해 산업부는 올해 AI 관련 예산을 얼라이언스 주요 프로젝트에 최대한 배정하고, 이어 내년 관련 예산을 올해(5651억원)보다 2배 넘는 1조1347억원으로 책정해 놓은 상태다.
또한, 국민성장펀드 등 민관 펀드를 활용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고, AI 테스트베드와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AI 모델 개발 및 AI 적용 제품·서비스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는 적극 개선하고, 산업인공지능전환촉진법(가칭)을 제정해 얼라이언스 활동 지원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출범식에서 “우리 제조업의 강점을 바탕으로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해 2030년까지 제조 AX 1등 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