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이례적 두번째 英방문…美 빅테크, 58조원 영국 투자 발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17 14:54
USA-TRUMP/BRITAIN-ARRIVAL

▲16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국을 국빈 방문한 가운데 미 빅테크들은 영국에 대한 투자 계획을 잇따라 발표했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영국의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2028년까지 300억달러(약 41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CEO)는 “영국이 미국을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브래드 스미스 MS 대외 정책 총괄 사장은 “영국의 사업 환경에 항상 낙관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지난 몇 년간 영국 정부가 취한 조치들에 큰 고무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스미스 사장은 2023년 MS가 690억달러 규모의 게임 회사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할 당시 영국 당국이 이를 저지하려 했던 것을 비판한 바 있다. 같은 해 말 영국 경쟁 당국은 MS의 인수를 승인했다.




스미스 사장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당시 규제 환경 등으로 이런 수준의 투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엔비디아의 경우 구체적인 투자 금액 등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영국에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을 위해 2026년까지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GPU) 12만장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유럽에서 이루어진 엔비디아의 최대 규모다.


이 중 2만3000장 이상은 MS와 영국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엔스케일과 협력해 새로 구축하는 슈퍼컴퓨터에 탑재될 계획이다.


또 3만장 가량의 GPU는 오픈AI가 엔스케일과 협력해 진행하는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스타게이트UK'에 탑재될 전망이다. 오픈AI는 내년 1분기까지 최대 8000장의 GPU를 도입하고 향후 3만1000개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데이터 센터 운영업체인 코어위브는 영국에 데이터센터 구축 등을 위해 15억 파운드(약 2조82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앞서 영국에 10억 파운드(약 1조8800억원) 투자를 진행한 바 있어 총 투자액은 25억 파운드(약 4조7000억원)로 불어날 전망이다.


세일즈포스는 과거에 발표했던 영국 투자계획을 확대한다. 2023년 당시 5년에 걸쳐 40억달러(약 5조52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2030년까지 20억달러(약 2조7600억원)를 추가로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구글은 영국에 50억파운드(약 9조40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런던 인근에 새 데이터센터를 연다고 발표했다. 구글은 이번 투자로 영국에서 연간 8250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영국 데이터센터에 5억 파운드를 투자하겠다고 최근 발표하기도 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샘 올트먼 오픈AI CEO, 래리 핑크 블랙록 CEO 등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영국 방문에 동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과학혁신기술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MS, 엔비디아, 구글, 오픈AI 등 미국의 주요 기술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구축, 양자 컴퓨팅 개발 등에 총 310억파운드(약 58조4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 빅테크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미국과 영국이 협력 강화를 모색하려는 와중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은 첫 번째 임기 중이었던 2019년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영국은 전통적으로 미국 대통령을 두 번째 임기에는 국빈 초청하지 않았기에,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을 두 번 국빈 방문한 첫 미국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영국에 도착해 18일까지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키어 스타머 총리는 트럼프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관세, 원전 등과 관련해 양국 간 진행해 온 협의의 마무리를 시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블룸버그는 “영국 정부는 자국 AI기업 육성을 통해 미국 기술력에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프랑스를 비록한 일부 유럽 국가들의 전략을 피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