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효순

anytoc@ekn.kr

박효순기자 기사모음




[한가위 건강] 노인성 난청, 조기 진단-치료가 치매 예방의 핵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07 09:00

보청기나 인공와우 같은 적절한 치료 시행해야

건강수명 연장·정신건강 유지 위한 국가적 과제


삼성서울병원 문일준 교수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문일준 교수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65세 이상 인구의 약 20%가 양측 중등도 이상의 난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약 205 만 명이 보청기나 인공와우와 같은 청각 재활 기기의 도움을 받아야 함을 의미한다.


노인성 난청 환자들은 TV 소리를 크게 한다“, "상대방 말소리를 듣기는 하나 이해가 잘 안 된다“,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대화가 어렵다“는 공통적인 증상을 호소한다. 이는 단순한 청력 저하를 넘어 사회적 고립과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외에서 진행된 장기 추적 연구에 따르면, 난청은 인지 기능 저하와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난청 환자에서 뇌의 청각 피질과 측두엽 부위가 위축되는 현상도 보고되었다. 특히, 난청은 치매 위험 요인의 약 8%를 차지하는데, 조기에 교정할 경우 치매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난청은 단순히 '잘 안 들리는 것'을 넘어, 두뇌 건강과 직결된 문제이다. 따라서 노인성 난청을 조기에 진단하고, 보청기나 인공와우와 같은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인지기능 유지와 치매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년기에 나타나는 청력 저하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의사소통 단절, 사회적 고립, 우울증,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 위험 증가로 이어지며, 노인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심각한 보건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하지만 현행 건강보험 제도는 중등도 이상의 청각장애 진단을 받은 경우에만 보청기 급여지원을 제공하고 있어, 상당수의 경도 난청 노인들은 제도권 밖에 놓여 있다. 초기 난청 단계에서 적절한 보청기를 착용하지 못하면 증상이 악화되고, 결국 더 큰 의료비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연초에 열린 국회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보청기 사용은 단순한 청력 보조가 아니라 치매 예방, 정신 건강 유지, 건강 수명 연장과 직결되는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경도 난청 단계에서부터 보청기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또한 보청기 급여화가 장기적으로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한다는 분석 결과도


제시됐다. 초기 난청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면 치매, 우울증, 낙상 등 난청과 연관된 합병증을 줄일 수 있고, 이는 곧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예방하는 효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노인의 청각 건강 문제는 더 이상 개인의 부담으로 방치되어서는 안 된다. 보청기 급여 범위 확대와 국가 차원의 청각 건강 관리체계 도입이 긴요하다. 이는 단순한 복지 확대가 아니라, 급격히 진행되는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보건 전략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노인성 난청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보편적인 문제이자,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정부가 조속히 보청기 급여화 범위를 확대하고, 국가가 책임지는 청각 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고령사회 대한민국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길이다.


*글=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문일준 교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