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효순

anytoc@ekn.kr

박효순기자 기사모음




명절 스트레스, 혈(穴)을 꾹꾹 눌러서 푸세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12 08:34

화가 치밀면 '신문혈', 긴장성 두통엔 '풍지혈'

가슴 답답 '용천혈', 신경이 예민하면 '신수혈'

긴 명절을 보내고 나서 '명절 증후군'을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육체적인 것보다 정신적으로 빨간불이 켜지면 더 큰 문제다.


특히 술 마시고 놀기만 하는 남편이나 자식 간에 불공평한 시부모에 대한 불만, 계속되는 음식 만들기와 설거지 등으로 적지 않은 여성들이 큰 스트레스와 속앓이를 하게 된다.


내재돼 있던 불만과 갈등이 표출되면서 집안에 볼썽 사나운 일이 벌어지고, 자칫 가족과 친지 간에 등을 돌리는 일까지 빚어지기까지 했다면 설상가상이다. '명절이혼' 용어가 괜히 생긴 것이 아니다.


추석 연휴의 마지막 날, 이제는 깊은 호흡을 하며 마음의 여유를 찾으면서, 꾹꾹 지압을 통해 마음을 추슬러 보자.



경희대한방병원 송미연 교수 견정혈 지압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경희대한방병원

▲경희대한방병원 송미연 교수가 견정혈 지압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경희대한방병원

◇짜증이 난다=목 뒤와 어깨 끝의 중간 부분인 '견정혈'을 잘 주물러서 풀면 짜증스러움과 온 몸의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곳을 엄지손가락으로 세게 주무르면서 누른다. 숨을 크게 들이쉬면서 양 어깨를 귀 가까이로 올린 채 3초 정도 유지하다 숨을 내쉬면서 툭하고 어깨를 아래로 떨어뜨린다.





◇화가 치민다='신문혈'을 지압하면 흥분이 가라앉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손목의 관절 부분으로, 손바닥을 펴고 봤을 때 새끼손가락 쪽과 이어지는 가장자리 부분이 신문혈이다.



'''

이 곳을 엄지손가락으로 세게 자극한다. 불안감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초조하거나, 왠지 모르게 기분이 가라앉지 않고 떠있을 경우 심리상태를 차분하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가슴이 답답하다=말로 받은 상처가 잘 가시지 않거나 과도한 가사 노동으로 피로가 쌓이면 분노가 치밀어 올라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나타난다.


...

이럴 때는 '용천혈'을 신문혈과 함께 자극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용천혈은 발바닥에 위치하는 혈 자리로 발가락을 굽혔을 때, 발바닥의 가장 오목한 곳에 해당한다. 잠이 잘 오지 않을 때도 용천혈을 눌러주면 좋다.



◇긴장해서 머리가 아프다=수면패턴이 깨지고 긴장 상태에서 지내다 보면 특히 목과 어깨의 근육이 뭉치면서 긴장성 두통이 나타날 수 있다. '풍지혈'은 목 뒷덜미에 위치한 혈자리이다.



...

귀 뒤에 튀어나온 뼈(유양돌기)를 지나 움푹 파인 곳으로, 뒤통수뼈가 끝나는 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압통이 심한 혈자리이므로 엄지손가락 혹은 두세번째 손가락을 이용해 조금 힘주어 마사지하듯 주물러주면 강렬한 자극을 느낄 수 있다.



◇신경이 예민해진다='신수혈'은 신경질을 억제하고 몸의 긴장을 풀어주는 혈자리다. 늑골(갈비뼈) 가장 아래(제12늑골)의 끝과 같은 높이로, 척추를 사이에 둔 양쪽 부분이 신수혈이다.



...

이곳을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른다. 이 지압은 엎드려 누운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움말=경희대 한방병원 송미연 교수(한방재활의학과)


*사진=경희대 한방병원 제공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