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코스피가 16일 3700선을 돌파하며 연일 신고점을 기록하는 가운데 외국인은 5개월 연속 국내 증시에서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시장 전체에서 외국인 비중이 늘어나는 가운데 일부 종목에서는 외국인 지분율이 더욱 빠르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코스피 추이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6일 코스피지수는 3748.37로 마감했다. 추석 연휴 전날인 2일 3549.21에서 5거래일 만에 3700선을 돌파했다. 연초 대비 56.3%가량 올랐다.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은 5개월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16일 발표한 '9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은 상장주식 6조68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8월 국내 증시가 일시적인 숨고르기 이후 외국인 투자 자금이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9월부터 증시가 반등세를 보이자 외국인 자금이 다시 늘어나는 모습이다.

▲외국인 주식 순매수 추이
외국인은 대형 주도주를 중심으로 대거 사들였다. 올 초부터 지난 15일까지 외국인이 순매수한 종목 상위 10개를 보면, 삼성전자(6조4519억원), SK하이닉스(2조6049억원), 한국전력(1조2079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조182억원), 현대모비스(8239억원), 삼성전자우(7644억원), 효성중공업(7568억원), 삼성전기(6906억원), 카카오(6388억원), 이수페타시스(6221억원) 순이다.
최근 외국인 매수세는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반도체 수요 증가로 업황 개선 전망이 잇따르면서 코스피 시가총액 비중이 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외국인 투자은행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보다 높이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10일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14% 올려잡은 11만1000원으로 제시했다. 모건스탠리는 “반도체 시장이 '메모리 수퍼사이클'에 들어갔다"며 “메모리 사이클은 2027년 정점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두 종목의 외국인 보유 지분율도 우상향을 그리고 있다. 지난 4월 28일 50% 밑으로 떨어졌던 삼성전자의 외국인 보유 지분율은 지난 7월 18일 50%로 다시 올라섰고 15일에는 51.96%까지 상승했다. 삼성전자의 외국인 보유 지분율이 52%대에 육박한 것은 지난해 11월 14일 이후 처음이다. 지난 5월 2일 53.22%까지 떨어졌던 SK하이닉스 외국인 보유 지분율 역시 점진적인 상승세를 그리면서 9월 16일 56.25%로 올라섰고 전날에는 55.41%로 장을 마감했다.
하지만 외국인 관심은 대형주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올해 들어 외국인 지분율이 많이 늘어난 종목을 보면, 중소형 성장주와 플랫폼, 방산 관련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초 대비 외국인 지분율이 10%포인트 이상 늘어난 종목은 ▲시프트업(+34.6%) ▲LB세미콘(+27.0%) ▲HD현대마린솔루션(+25.3%) ▲피노(+25%)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20.4%) ▲에스엠(+16.3%) ▲이수페타시스(+14.9%) ▲에이피알(+12.5%) ▲효성중공업(+10.7%) ▲STX엔진(+10.3%) 등이다.
환율이 받쳐준다면 반도체에 집중된 외국인 매수세가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다운 LS증권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 하락이 나타난다면 외국인 순매수는 시장 전반에 걸쳐 확대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