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입구에 대출 안내문이 붙어있다.(사진=연합)
지난달 은행 기업대출이 전월 대비 5조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은행권이 대출 영업을 확대한데다 추석자금 수요까지 맞물리며 증가세를 이어갔다.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은행권이 공격적으로 기업대출 영업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각종 경영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의 자금 수요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9월 은행 기업대출 잔액은 1360조1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5조3000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잔액은 7월 3조4000억원 증가에서 8월 8조4000억원 증가로 큰 폭으로 뛰었지만, 9월 들어 계절적 요인 등으로 증가 폭이 둔화됐다.
이 중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1065조8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원 늘었다. 9월 중소기업 대출 증가 폭은 8월(+4조5000억원)과 비슷했다. 부실채권 매각, 상각에도 주요 은행이 대출영업을 강화한데다 기업들의 추석자금 수요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반면 대기업 대출 잔액은 294조3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3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상환, 회사채 발행을 통한 상환 등으로 8월(+3조8000억원) 대비 증가 규모가 축소됐다.
은행권은 최근 정부가 대출 규제를 더욱 강화하면서 기업대출 영업에 매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날(16일)부터 수도권, 규제지역에 적용되는 주택구입목적 주택담보대출의 대출한도를 주택가격(시가)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하기로 했다. 수도권·규제지역의 시가 15억원 이하 주택의 주담대 한도는 현행과 동일한 6억원을, 시가 15억 초과~25억원 이하 주택은 4억원, 시가 25억원 초과 주택은 2억원으로 대출한도를 차등 적용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 규제지역 내에서 대출을 활용해 고가주택을 구입하려는 수요를 차단하겠다는 목적이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은행권은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따른 반사효과로 기업여신을 확대할 것"이라며 “그러나 기업들 입장에서는 미국 관세정책 관련 경영 불확실성이 커 자금 수요가 크게 확대되긴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