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김동관 방산 3사, ADEX서 능동형 ‘육·해·공 AI 국방’ 청사진 선보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17 08:03

에어로·시스템·오션, 육해공·우주 아우르는 AI 기반 첨단 기술 선봬

“급변 안보 환경 대응…국내 방산 생태계로 미래 성장 동력 육성”


오는 20~24일 경기 고양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한화 부스 조감도.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오는 20~24일 경기 고양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한화 부스 조감도.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국방의 미래'를 제시했다. 인구 절벽 시대의 병력 감소와 미래 전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육·해·공·우주를 아우르는 모든 무기 체계에 AI를 심어 대한민국의 자주 국방 역량을 극대화하겠다는 청사진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한화오션 등 한화그룹 방산 3사는 오는 20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내일을 위한 AI 국방(AI Defense for Tomorrow)'를 주제로 역대 최대 규모의 통합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화가 선보이는 무기 체계의 핵심은 단연 '인공 지능(AI)'이다. 모든 플랫폼을 AI로 연결해 유기적인 통합 전투 능력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지상 분야에서는 차세대 수출 전략 상품인 '배회형 정밀 유도 무기(L-PGW)'가 처음으로 공개된다. 다연장 로켓 '천무'에서 발사된 이 무기는 AI 기술로 스스로 표적을 정찰·감지하고, 타격 시 전방부의 자폭 드론이 분리돼 정밀 타격을 수행한다. K-9 자주곡사포는 운용 병력이 3명으로 줄어든 K-9A2를 거쳐, 1대의 지휘 차량 통제 하에 3문이 자율 기동하는 완전 무인 포탑인 K-9A3으로의 발전 로드맵을 제시한다.


해양 분야에서는 한화오션이 AI 기반의 신속 대응이 가능한 '차세대 전략 수상함'을 선보인다. 한화시스템의 전투 체계(CMS)와 통합 기관 제어 체계(ECS) 등이 하나로 합쳐진 '스마트 배틀십' 기술은 AI가 자동으로 표적을 인식하고 최적의 교전 방식을 도출한다.




우주·통신 분야에서는 독자적인 감시 정찰 능력 확보를 위한 비전을 보여준다.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해상도(UHR) SAR 위성과 AI 영상 분석 기술을 결합해 적 탐지 능력을 극대화하고, 차세대 전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미래 전장의 지휘 통제 모습을 시연한다.


특히 한화그룹은 이번 전시에서 '국방 소버린 AI' 구축이라는 비전을 강조한다. 국내 정보통신(IT) 및 중소·중견 기업과 협력해 외부 의존 없이 독자적인 '한국형 AI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탐지부터 지휘 통제, 타격까지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첨단 방어 체계를 구축해 자주 국방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대한민국을 둘러싼 안보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최첨단 AI 기술로 자주국방에 기여하겠다"며 “협력사들과 경쟁력 있는 국내 방산 생태계를 조성해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