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공동 운영하는 ADEX 2025 우주항공관. 사진=우주항공청 제공
우주항공청(KASA)이 출범 이후 처음으로 '서울 ADEX 2025'에 참가해 대한민국의 우주항공 기술 성과와 미래 비전을 선보인다.
우주항공청은 개막한 ADEX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과 함께 '우주항공관'을 공동으로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누리호 발사 성공과 달 궤도선 '다누리'의 임무 수행 등 K-우주 시대를 연 주역들이 한자리에 모여 그간의 성과를 알리고,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상징적인 무대가 될 전망이다.
우주항공관에서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달 탐사선·최첨단 위성 기술 등 대한민국 우주 개발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핵심 성과물들이 전시된다. 관람객들은 발사체부터 탐사·위성·천문 분야에 이르는 대한민국의 저력과 기술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우주항공청은 이번 전시를 통해 정부 주도를 넘어 민간 중심의 우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강력한 정책 의지를 드러낸다. 부스 내에서 우주항공 공공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고, 중소기업의 혁신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SBIR(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제도 참여 기업 세미나를 개최해 기술 보급과 산업 활성화의 활로를 모색한다.
우주항공청은 전시 기간 동안 단순한 기술 과시를 넘어 실질적인 국제 협력 강화에도 나선다.
행사 첫날인 20일에는 영국 대표단과 양자 면담을 갖고 양국 우주 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어 브라질 국영기업 알라다(ALADA)와 만나 오는 11월 첫 상업 발사를 앞둔 국내 우주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에 대한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22일과 23일에는 독일·네덜란드 항공우주센터와 연이어 양자 회의를 열고 공동 연구 및 기술 협력 확대를 논의하는 등 우주 강국들과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할 방침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이번 ADEX는 우주청 출범 이후 국민 앞에 대한민국 우주 역량을 선보이는 뜻깊은 무대"라며 “정부·연구 기관·산업계가 함께 지속 가능한 우주 강국을 만들어 가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