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최태현

cth@ekn.kr

최태현기자 기사모음




[사천피 소외주_⑥코스닥] 대형주 낙수효과 시작되나…“저점 지나는 중·소형주” 천스닥 기대감 ‘솔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03 14:27

연초 이후 코스피 74% 올랐지만, 코스닥 상승률 32%에 그쳐
연말부터 코스닥 중심 상승장 전망
외국인이 ‘사천피’까지 밀었다면, ‘오천피’까진 개인이 이끌 것

새 정부 출범 이후 코스피가 역대 최고치를 거듭 갈아치우며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격차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벌어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코스닥 및 중·소형주가 저점을 지나고 있다고 분석하며 대형주 위주의 상승 국면 이후 연말부터 중·소형주로 온기가 퍼질 것으로 내다봤다.


코스피-코스닥 격차 사상 최고치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11시 4분 코스피 지수는 반도체주 강세에 상승폭을 키우며 4190대로 올라섰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910.96이다. 코스피 지수를 코스닥 지수로 나눈 값인 상대 강도는 4.6배에 이르렀다.


2025년 코스피·코스닥 상승 추세 비교

▲2025년 코스피·코스닥 상승 추세 비교

연초 코스피 지수는 2398.94, 코스닥 지수는 686.63이었다. 상대 강도는 3.49배였다. 11개월에 걸쳐 코스피는 74% 올랐지만, 코스닥은 32% 오르면서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김두언 하나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상대 강도가 역사적 최고 수준으로 확대됐다"며 “이전 최고는 4.5배(2011년 6월14일)이었다"고 말했다.


두 시장의 시가총액도 크게 벌어졌다. 이날 코스피 시가총액은 3449조원으로 코스닥 시가총액(481조원)의 7.17배에 달했다. 1월 2일 기준 시가총액은 코스피 1963조원, 코스닥 344조원으로 두 시장의 규모 격차는 5.7배 수준이었다.


연말부터 중·소형주 중심 상승장 기대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연말부터 코스닥 시장을 중심으로 중·소형주 상승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인 강세장에서 나타나는 대형주 위주의 상승 국면 이후 중소형주로 상승 다변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코스닥 및 중·소형주가 상당 기간 열위에 놓였던 경기, 실적, 정책, 수급적 이유가 연말부터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코스닥150지수의 주당순이익(EPS)이 반등하기 시작했고, 미국의 금리 인하가 재개되면서 성장주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벤처투자 활성화 및 코스닥 시장 개혁으로 정부 정책 드라이브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국내 기업 실적이 대폭 개선되고 있는 점은 중소형 기업 주가를 끌어올릴 요인으로 작용한다.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 영업이익은 307조원, 내년은 402조원으로 추정된다. 2023년 코스피 영업이익 171조원에 견줘 3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변 연구원은 “중·소형주의 강세 현상은 증시 상승 전환 초반 또는 대형주 실적 급증이 상당 기간 확인된 랠리 후반부에 나타난다"며 “결과적으로 대형주의 2026년 강한 실적 개선은 이미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됐고 2026년이 3년차 실적 급증 국면임을 고려할 때 중소형 기업이 뒤따라 실적 개선될 수 있는 국면"이라고 분석했다.


'사천피'까지 외국인이 밀었다면…'오천피'는 개인 투자자가 이끈다

수급 측면에서 향후 시장의 매수 주체가 개인 투자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9월부터 코스피가 빠르게 올랐고, 그 중심에는 외국인이 있었다. 외국인 투자자는 9월 코스피를 7.4조원, 10월에는 5.3조원을 순매수했다. 그중 반도체 업종의 순매수가 각각 7.0조원과 3.9조원으로 전체 순매수에서 94%와 66%를 차지했다.


2025년 투자자 예탁금 추이

▲2025년 투자자 예탁금 추이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4000포인트 대에서 개인 자금이 매수 주체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며 “고객 예탁금이 약 80조원 수준으로 급등해 있는 점을 고려하면 개인의 매도 자금이 주식시장 밖으로 크게 유출될 가능성은 낮아 개인의 저가 매수 또는 추격 매수 자금 여력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했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연말 연초를 두고 기대하는 건 유동성에 기댄 순환매"라며 “반도체 대형주에서 반도체 중·소형주나 IT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헬스케어로 옮겨가는 게 적절해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