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로당 자동소화기 시범설치·어린이 체험형 안전교육 동시 추진
▲홍천군청 전경
홍천=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홍천군이 겨울철을 앞두고 지역 내 안전취약계층인 어르신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안전 강화 대책에 나섰다.
17일 군에 따르면 최근 경로당 내 분전반·배전반·에어컨 실외기 등 노후 전기설비를 중심으로 화재 위험이 증가하면서 겨울철을 앞둔 선제적 대응의 필요성이 커졌다는 판단에 따라 고령층 이용 시설안전을 우선 처리 과제로 설정하고 이번 설치 사업을 추진한다.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2019년 이전 건립된 노후 경로당 △회원 수가 많은 경로당 △시설 규모가 큰 경로당 등을 대상으로 우선 설치한다.
이번에 설치하는 '오토쉴드 자동소화기'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으로 24시간 상시 감시, 무전원·무배관 방식으로 설치·관리 용이, 화재 발생 시 5초 이내 자동 진압 기능을 갖췄다.
특히 초기 5초 대응은 작은 불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경로당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성능으로 꼽힌다.
홍천군 관계자는 “경로당은 어르신들이 오래 머무르는 공간인 만큼 작은 화재도 치명적일 수 있다"며 “자동소화기 설치로 전기화재 위험을 실질적으로 낮추겠다"고 말했다.
오토쉴드 관계자는 “초기 5초 진압 기술은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는 핵심 요소"라며 “앞으로도 고령층 안전 강화를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군은 이번 시범설치를 계기로 경로당 전기설비 전반을 점검하고, 자동소화기의 실제 효과 분석을 통해 향후 확대 여부도 검토할 계획이다.
어린이 대상: 6개 학교 60학급 참여… 체험형 안전교육 운영
한편 홍천군은 17일부터 21일까지 관내 6개 학교, 60학급, 1127명을 대상으로 맞춤형 어린이 안전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교육은 홍천군이 주최하고 유시스커뮤니케이션이 주관하며, 학교별 수요를 반영해 △재난안전(자연재난 이해·대처) △화재안전(예방·대피·신고 요령) △응급처치(기초 CPR·생활 응급) △성폭력 안전(예방·대처 역할 활동) △실종·유괴 안전(유인 전략 인지·대응) △교통안전(보행·자전거 등 이동 안전) 등 6개 분야 중 1개 주제를 선택해 진행된다.
교육은 학급 단위 40분 동안 퀴즈·역할극·체험도구를 활용한 '참여형 수업'으로 구성해 어린이들이 스스로 위험을 인지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홍천군은 경찰·소방·교육지원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교육의 실제 대응력을 높이고, 교육 종료 후 만족도 조사와 개선 의견을 반영해 내년 프로그램을 더욱 보완할 예정이다.
올해 상반기 9개 학교 276명이 교육을 수료해 효과성을 확인하기도 했다.
민용만 군 재난안전과장은 “어린이의 실천 중심 안전습관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교실에서 직접 참여하는 40분 집중 교육으로 자기보호 역량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홍천군은 취약계층 밀집시설을 대상으로 한 경로당 안전 인프라 확충과 학교 기반 안전교육 확대를 통해 세대별 맞춤형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으로도 유관기관 협력, 위험시설 점검 강화, 예방 중심 안전정책 확대 등을 통해 '군민이 주인되는 안전 홍천' 실현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홍천군, 군민의 염원 담아 '용문~홍천 광역철도 홍보책자' 제작
▲홍천군은 군민의 100년 염원을 담은 '용문~홍천 광역철도 홍보책자'를 제작했다. 제공=홍천군
홍천=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홍천군은 최근 군민의 100년 염원을 담은 '용문~홍천 광역철도 홍보책자'를 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홍보책자에는 지난 100년 동안 이어져 온 지역 숙원사업의 의미를 기록물로 정리함으로써 철도 유치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담아 용문~홍천 광역철도의 추진 배경과 주요 내용, 현 정부의 홍천철도 유치 약속과 사회단체의 성명서·건의문, 군민이 직접 그린 유치 염원 그림, 홍천철도 유치활동 내역 등을 담았다.
신영재 홍천군수는 “홍천군민의 100년 염원은 결코 멈추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 용문~홍천 광역철도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발표가 다가오는 만큼 군은 지역균형발전과 홍천군의 미래 번영이라는 사명 아래 흔들림 없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태백가덕산풍력발전, '2025 한국에너지대상'서 국무총리 표창 수상
▲주민 참여형 풍력발전 가덕산 풍력발전. 제공=한국동서발전
강원=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강원도가 추진하는 기후테크 산업 정책이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강원도는 태백가덕산풍력발전주식회사(이하 태가풍)가 17일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5 한국에너지대상' 시상식에서 '재생에너지 산업발전 부문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강원도에 따르면 도가 출자한 기관이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정부 최고 권위의 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태가풍은 2018년 10월 설립된 강원도 출자기관으로, 태백시 원동·하사미동 일원에서 64.2㎿ 규모의 풍력발전기 17기를 운영하며 매년 약 160GWh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주민참여형 모델을 전국 최초로 도입한 대규모 풍력발전단지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깨끗한 에너지 공급과 지역 상생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해 왔다.
'한국에너지대상'은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최하는 에너지 분야 최대 규모의 정부 포상 행사로, 국가 에너지정책과 산업발전에 기여한 기관·기업·개인을 선정해 시상한다.
태가풍은 이번 평가에서 재생에너지 생산·보급 확대, 정부 친환경 에너지정책 이행, 풍력발전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 지역사회 상생협력 실천 등 다방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상생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진태 도지사는 “올해 강원의 일곱 번째 미래산업으로 기후테크 산업을 선언했는데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1년도 되지 않아 의미 있는 성과가 나와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 강원이 기후테크 산업을 선도하도록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기덕 태백가덕산풍력발전㈜ 대표이사는 “이번 수상은 임직원들의 헌신과 지역 주민들의 지속적인 성원이 만들어낸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모범적인 기업 모델로 자리매김하며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강원도, '2025 하반기 탄광유산 미래포럼' 개최…독일 보훔 폐광연구센터 첫 공식 참여
▲탄광유산 미래포럼 '광산, 내일을 비추다' 포스터. 제공=강원도
강원=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강원도는 오는 18일 영월 동강시스타 그랜드볼룸에서 '2025 하반기 탄광유산 미래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폐광지역이 보유한 석탄산업 유산의 체계적 보존·활용 방향을 논의하고, 향후 공식 유산 등재 추진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 행사에는 독일의 세계적 폐광연구 전문기관인 보훔 폐광연구센터(FZN)의 연구진이 공식 초청돼 공동 연구 성과와 해외 성공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보훔 폐광연구센터는 △대체 산업 발굴 △환경·갱내수 관리 △산업유산 보존 전략 △녹색에너지 기반 전환 등 폐광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연구하는 세계적 기관이다. 이번 초청에는 Christian Melchers 센터장과 Julia Haske 부서장이 참여한다.
연구진은 17~19일 영월·정선·태백 등 폐광지역 현장을 둘러보며 산업유산 활용 가능성을 직접 점검할 예정이다. 방문 코스에는 영월 운탄고도 안내센터, 강원랜드 하이원리조트, 정선 마을호텔 18번가, 태백 순직산업전사위령탑 등이 포함된다.
포럼은 '강원 폐광지역 산업유산의 현황과 활용'을 주제로 3개 발표와 패널토론으로 구성된다. △이용규 정선도시재생지원센터장이 강원 탄광 산업유산 현황과 보존 방향 설명과 △Julia Haske 부서장의 독일 '졸페라인(Zollverein)'의 세계유산 등재 과정과 문화·예술·관광 복합지구로의 재생 사례 소개가 이어진다. 또한 △임재영 강원연구원 탄광지역발전지원센터장은 국가유산 전환 및 세계유산 등재 추진 전략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패널토론에는 △김보람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연구원(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진용선 아리랑아카이브 대표 △김태수 탄광지역활성화센터 연구소장 △정연수 탄전문화연구소장 등 산·학·관 전문가가 참여해 국제적 시각에서 유산 보존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김광래 강원도 경제부지사는 “독일 졸페라인처럼 산업유산을 문화·예술·관광이 결합된 복합공간으로 재생할 경우 지역의 정체성 회복과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강원 폐광지역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갖출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유승의 부동산뷰] 서울 재개발 인허가권 지자체로?…부동산시장 ‘대격변’ 온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7.b421b0f0dde64d52bc4510a9bd79c90a_T1.jpg)


![[인터뷰] “한국은 북극항로의 아시아 첫 관문, 에너지 허브 기회”](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4.9613d1d41cc94f9fa300e87c196ff9fc_T1.png)


![“왜 못 오르나”...사천피 ‘불장’ 속 소외된 보험주 [이슈+]](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8.8ac523f3dfbc4930b966462c64514b11_T1.jpeg)
![[특징주] ‘아기상어’ 더핑크퐁컴퍼니, 코스닥 입성 첫날 강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8.9d5eaf8963624ed9918679bd2a960e89_T1.jpg)
![[특징주] 삼익제약, 분당서울대병원 약제위 심의 통과 소식에 강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8.60cea81c51fc4c26b3dd04569d316aa8_T1.jpg)
![[EE칼럼] 기후변화협약의 정치와 과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528.6d092154a8d54c28b1ca3c6f0f09a5ab_T1.jpg)
![[EE칼럼] 국가 탄소감축 정책, 이상과 현실 사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b55759f13cc44d23b6b3d1c766bfa367_T1.jpg)

![[이슈&인사이트] 정치적 상상력을 초월하는 현실 정치](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1.d4a5236841154921a4386fea22a0bee8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이재명 대통령式 발전공기업 통폐합의 미래는?](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7.59e695c5fd414117bc0412404c69a963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