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분당 차바이오컴플렉스 전경. 사진=차바이오텍
차바이오텍이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분기매출을 기록한 가운데, 영업적자폭은 지난해보다 벌어져 외형과 내실이 엇갈린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다만 차바이오텍은 영업손실 부담에도 불구하고 인프라·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 확대하며 턴어라운드를 본격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차바이오텍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3187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매출 2720억원 대비 17.1% 증가한 수치로, 분기기준 역대 최고 매출 기록이다.
싱가포르 자회사 연결 편입 효과와 글로벌 헬스케어 네트워크 성장이 3분기 매출 확대를 이끌었다는 게 차바이오텍의 설명이다.
1~3분기 누적 매출은 9217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7691억원) 대비 19.8% 신장했다. 올 3분기까지 지난해 연간 전체 매출(1조450억원)을 90% 가까이 추격하며 2년 연속 연매출 1조원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두 자릿수 규모로 견실한 매출 성장세를 기록했음에도 만성적인 영업적자 기조는 심화했다.
올 3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 규모는 8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9.1% 커졌고, 별도기준 영업적자 규모도 같은 기간 1억원에서 18억원까지 확대됐다.
1~3분기 누적 영업손실은 연결기준 413억원과 별도기준 40억원으로 각각 지난해보다 2배·20배 이상 늘었다. 영업적자는 글로벌 헬스케어사업 인프라 투자와 주요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주 요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R&D 부문 투자규모 증가세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세포유전자치료제(CGT) 파이프라인의 개발과 수익 창출을 가속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세포주·생산공정 구축을 통해 기술수출 등 글로벌 파트너십 확보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실제 지난해 3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대비 12.3% 수준이었던 R&D비용(48억원)은 올 3분기 19.3%(87억원)까지 확대됐다. CGT R&D 투자 규모를 확장해 파이프라인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또한 지난 9월 말 기준 차바이오텍과 자회사 마티카바이오랩스의 총 연구인력은 101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5명 증원됐다.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기업인 마티카바이오랩스 연구인력규모는 이 기간 3명 축소한 반면, 차바이오텍 R&D 본부 소속 연구인력은 18명 늘었다.
아울러 파이프라인 글로벌화를 겨냥한 차바이오텍의 업무협약(MOU) 행보도 주목된다.
차바이오텍은 지난 8월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과 △중간엽 줄기세포 플랫폼 구축 △50ℓ 이상 3D 자동화 대량생산 공정 개발 등을 골자로 하는 MOU를 체결했다. 글로벌 기준의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필수적인 대량생산 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같은달 밀테니바이오텍과는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CAR-NK(키메라 항원 수용체 발현 자연살해세포)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요구되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대량생산 자동화 공정 개발 협력 MOU를 성사시켰다.
차바이오텍은 자사 CGT 파이프라인 가운데 동종유래 치료제는 글로벌 기술이전을, 자가유래 치료제는 국내 첨단재생의료를 통해 사업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EE칼럼] 기후변화협약의 정치와 과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528.6d092154a8d54c28b1ca3c6f0f09a5ab_T1.jpg)
![[EE칼럼] 국가 탄소감축 정책, 이상과 현실 사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b55759f13cc44d23b6b3d1c766bfa367_T1.jpg)

![[이슈&인사이트] 정치적 상상력을 초월하는 현실 정치](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1.d4a5236841154921a4386fea22a0bee8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규제 말고 지원”···산업계 호소가 절박한 이유](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8.b53eb0fbb6654840a753cb7636a4206f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