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오세영

claudia@ekn.kr

오세영기자 기사모음




[에너지경제 여론조사] 지자체장 관사 불필요 이유로 국민 과반 이상 '운영·관리비 세금 충당' 꼽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5.18 15:40
clip20220518134108

▲의뢰기관 :에너지경제신문 / 조사기관 : 리얼미터 / 조사기간 : 2022년 5월 16∼17일 / 표본수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 / 조사방법 : 무선(90%), 유선(10%) / 응답률 : 2.8%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지방자치단체장의 관사가 필요 없는 이유로 국민의 절반 이상이 지방세금의 관사 운영·유지비 충당을 꼽았다.

또 지자체장 관사 운영 찬반 의견과 관련 다른 현안들과 달리 이념 성향별 격차가 크지 않았다.

에너지경제신문은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16∼17일 전국 18세 이상 1007명을 상대로 실시한 지자체 관사운영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지자체장의 관사가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664명에게 ‘관사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물어본 결과 ‘운영 및 유지 경비가 지방 세금으로 충당돼서’라는 응답이 50.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선출된 공직자가 주민에 군림하는 느낌이라서’가 19.6%, ‘관사가 지자체장의 재테크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어서’가 18.0%로 뒤를 이었다. ‘주민과의 괴리감 때문에’는 3.8%에 불과했다. 이 밖에 ‘기타 이유’ 6.5%, ‘잘 모르겠다’ 1.5%로 나타났다.

‘관사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전체 응답자 비율보다 높게 나타난 지역은 △대전·충청·세종 62.5% △서울 52.9% △경기·인천 52.0%다.

‘선출된 공직자가 주민에 군림하는 느낌이라서’라는 이유가 전체 응답자 보다 높은 곳은 △광주·전남·전북 28.0% △부산·울산·경남 23.5% △서울 23.3%로 나타났다.

‘재테크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어서’라는 답변에는 △제주 34.6% △대구·경북 26.3 △강원 25.6 △대전·충청·세종 22.5% 등에서 전체 응답자 비중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 55.1% △18∼29세 50.1% △50대 50.1% 등에서 ‘운영 및 유지 경비가 지방 세금으로 충당된다’는 이유로 지자체장의 관사 사용을 반대하는 여론이 절반을 넘었다.

이어 △50대 23.7% △60세 이상 21.8% △18∼29세 21.2% 등에서 ‘선출된 공직자가 주민에 군림하는 느낌이라서’라는 응답이 전체 비율보다 높았다. 3040세대(30대 24.8%, 40대 19.9%)에서는 ‘재테크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어서’ 응답이 전체 비중보다 높게 나타났다.

clip20220518134100

▲의뢰기관 :에너지경제신문 / 조사기관 : 리얼미터 / 조사기간 : 2022년 5월 16∼17일 / 표본수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 / 조사방법 : 무선(90%), 유선(10%) / 응답률 : 2.8%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반면 지자체 관사가 필요하다고 답변한 응답자 242명에게 ‘관사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 ‘재임 중 청사와 가까이 거주하기 위해’라는 답변이 44.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지자체장 업무 추진에 시설이 필요해서’라는 응답이 30.6%로 뒤를 이었다. ‘지자체장에 대한 존중과 배려 차원에서’는 15.3%로 가장 낮았다. 이 밖에 ‘기타 이유’ 4.9%, ‘잘 모르겠다’ 4.4%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찬성하는 이유에 차이를 보였다. ‘재임 중 청사와 가까이 거주하기 위해’라는 응답이 높은 곳은 △경기·인천 55.7% △광주·전남·전북 53.5% △서울 44.1% △대전·충청·세종 34.2% 등으로 나타났다.

‘지자체장 업무 추진에 시설이 필요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곳은 △부산·울산·경남 49.2% △대구·경북 42.2% 등이다.

‘지자체장에 대한 존중과 배려 차원에서’라고 답변한 응답률이 높은 곳은 △제주 100.0% △강원 40.3 등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로 살펴볼 때 18∼29세를 제외하고 모든 세대에서 ‘재임 중 청사와 가까이 거주하기 위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40대가 54.3%로 가장 높았으며 △30대 49.7% △50대 43.8% △60세 이상 40.8%로 나타났다. 18∼29세 구간에서는 ‘지자체장 업무 추진에 시설이 필요해서’라는 응답에 39.5%가 답변했다.


claudia@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