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뢰기관 :에너지경제신문 / 조사기관 : 리얼미터 / 조사기간 : 2022년 8월 11∼12일 / 표본수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22명 / 조사방법 : 무선(90%), 유선(10%) / 응답률 : 3.1%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윤석열 정부가 앞으로 물가안정과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회복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부 및 공공기관, 연금 및 노동 등 개혁은 경제 및 민생 과제보다 후순위에 밀린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응답자 10명 중 4명은 이전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던 복지 확대와 신재생에너지 비중 강화를 계속 이어가야 한다고 답변했다.
에너지경제신문은 오는 17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을 앞두고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11∼12일 이틀간 전국 18세 이상 1022명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 응답자 51.4%, 물가안정·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 주요 과제로 꼽아
윤석열 정부가 앞으로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물가안정’이 30.8%, 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이 20.6%로 ‘경제 안정화’에 대한 답변이 높게 나타났다.
이어 △외교 안보 강화와 개선 11.3% △정부 및 공공기관 개혁과 구조조정 10.7% △여야 협치 9.3% △연금개혁 4.7% △노동시장 개혁 4.2% 순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기타’는 5.1%, ‘잘 모름’은 3.3%로 집계됐다.
‘윤석열 정부가 물가안정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답변한 응답자 분포도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광주·전북·전남 36.0%와 서울 35.4%로 높게 나타났다. 이어 △부산·울산·경남 32.3% △대전·충청·세종 30.0% △경기·인천 29.5% 순으로 조사됐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30대 38.1% △40대 34.7% △50대 32.1% △18∼29세 31.4% △60세 이상 23.5% 등으로 경제 활동 참여도가 비교적 높은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수행에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 35.1%가 ‘물가안정’을 중점 추진 과제로 꼽았다.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중점 추진 과제로 꼽은 응답자 분포도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제주에서 2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강원 25.1% △경기·인천 24.4% 순으로 집계됐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 23.7%로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 23.3% △18∼29세 19.6% △30대 17.9% △40대 16.0% 순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수행에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 26.8%가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중점 추진 과제로 꼽았다.
![]() |
▲의뢰기관 :에너지경제신문 / 조사기관 : 리얼미터 / 조사기간 : 2022년 8월 11∼12일 / 표본수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22명 / 조사방법 : 무선(90%), 유선(10%) / 응답률 : 3.1%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
◇ 응답자 38.3% "文 정부 복지확대·신재생에너지 강화 등 이어가야"
이전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던 정책 중 연속성 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복지 확대’가 21.5%, 신재생에너지 비중 강화가 16.8%로 높게 나타났다.
이어 △대북 우호 관계 유지 14.8% △부동산 세금 중과 정책 13.1% △대중 관계 우위 정책 6.5% 순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없음’은 20.1%, ‘잘 모름’은 7.2%로 집계됐다.
‘복지 확대를 연속성 있게 이어가야 한다’고 꼽은 응답자 분포도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광주·전북·전남 25.6%, 서울 25.3%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어 △부산·울산·경남 22.5% △제주 22.3% 순으로 조사됐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18∼29세에서 29.1%로 가장 높았다. 이어 △30대 23.8% △40대 20.5% △60세 이상 19.2% △50대 17.3% 순으로 나타났다.
또 △진보층 29.8% △가정주부 33.8% △학생 28.2% △정의당 지지층 34.7% △더불어 민주당 지지층 25.4% △국정수행 부정평가층 24.7% 등에서 각각 답변 비중이 높았다.
‘문재인 정부에 이어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변한 응답자 분포도를 기역별로 살펴보면 제주에서 30.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구·경북 22.5% △경기·인천 18.5% △대전·충청·세종 17.7% 순으로 나타났다.
세대별로 차이는 뚜렷했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40대 28.7%, 30대 26.5% 등으로 3040세대에서 답변이 높았다. 반면 △50대 13.7% △60대 이상 11.5% △18∼29세 7.9%로 나타났다.
또 △진보층 22.4% △사무·관리·전문직 21.0%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21.7%에서 각각 답변 비중이 높았다.
claudia@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