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6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창간 35주년] 돌봄 지원·특화점포·금융상품…‘팔 걷은’ 금융사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24 11:25

금융지주 돌봄사업으로 저출산 해결 노력
은행권, 이용 쉬운 특화·이동점포 운영
보험사 등 금융사, 특화 상품 출시

저출산

금융사들도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각종 지원에 나서고 있다. 저출산 해결을 돕기 위한 차원에서 돌봄사업 등 사회공헌활동뿐 아니라 고령층을 위한 특화점포 등을 개설하며 금융서비스를 개선하고 있다. 다양한 관련 금융상품도 내놓으면서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저출산 극복" 금융지주 돌봄사업 지원

금융지주사들의 대표적인 지원 사업은 돌봄사업이다. 육아 부담을 줄여 저출산 문제 해결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기 위한 취지다.


KB금융지주는 2018년부터 총 1250억원을 투입해 '온종일 돌봄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총 750억원을 투입해 총 2265개의 초등돌봄교실과 국·공립 병설유치원을 신·증설을 지원했다. 지난해 2월부터는 5년간 총 500억원을 투입해 전국에 '거점형 늘봄센터'를 개관한다. 지난 2월에는 제주 지역에서 전국 최초로 주말에 운영되는 돌봄시설인 '초등주말돌봄센터'의 문을 열었다.


하나금융지주는 지난 3월 금융권 처음으로 '365일 꺼지지 않는 하나돌봄어린이집'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주말·공휴일·정규 보육 시간 이외에 돌봄 서비스를 운영한다. 하나금융은 향후 5년간 300억원 규모로 '주말·공휴일형' 47개소와 '365일형' 3개소 등 총 50곳의 어린이집에 돌봄 공백 보육 사업을 지원한다. 서비스 이용 대상은 생후 6개월 이상 미취학 영유아다. 이 사업은 하나금융이 저출산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완성하는 100호 어린이집 건립 프로젝트의 후속 사업으로 진행된다.


이밖에 신한금융지주는 맞벌이 가정 자녀들의 방과 후 돌봄활동을 지원하는 공동육아나눔터인 '신한 꿈도담터'를 운영하고 있다. 신한금융희망재단을 통해 2018년부터 여성가족부와 업무협약을 맺고 전국에 구축 사업을 실시한다. 신한 꿈도담터는 시설 리모델링뿐 아니라 아동들을 위한 금융·코딩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신한금융은 지난달 그룹의 사회공헌 브랜드 '아름다운 동행'을 론칭해 아동, 청년, 성인, 시니어를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은행·저축은행, 고령층 맞춤 점포 운영

KB 시니어 라운지.

▲KB 시니어 라운지.

은행권은 특화점포, 이동점포 등을 통해 시니어 고객이 한층 더 쉽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대표적으로 하나은행은 지난 2월 중·장년층 고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니어 특화점포'를 경기도 고양시 탄현역출장소를 리모델링해 개점했다. 큰 글씨 안내, 난청 어르신 글 상담 서비스, 쉬운 말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 시니어 맞춤 디지털 기기를 도입하고, 스마트 키오스크 설치, 사용지원 전담 매니저 배치 등 디지털 업무 처리가 편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했다. 고령층이 금융 문턱을 낮출 수 있도록 시니어 금융콘텐츠 시청각 자료,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교육 등의 콘텐츠도 제공한다.


KB국민은행은 2022년 7월부터 찾아가는 이동점포 'KB 시니어라운지'를 운영하고 있다. 고령층이 자주 찾는 복지관을 직접 찾아간다는 컨셉으로, 그동안 서울시 내 고령인구가 많은 강서·구로·노원·은평·중랑구 등 5개 행정구를 대상으로 운영하다 지난 2월 인천까지 운영지역을 확대했다.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며, 전담직원이 어르신들의 금융서비스 이용을 돕는다.


저축은행도 특화 창구를 운영한다.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경우 고령층 뿐만 아니라 장애를 가진 고객, 금융사고 피해를 입은 고객 등을 금융취약층을 위한 전용 창구인 공감 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공감 창구는 지점 내 한 개의 창구에 배정되며 현재 18개 지점에서 운영되고 있다.



금융사들, 특화 금융상품·서비스 확대

웰컴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의 웰컴(WELCOME) 아이사랑 정기적금.

금융사들은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발맞춘 금융상품을 출시하고 금융서비스도 확대하고 있다.


BNK부산은행은 저출산 해결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일 1년 만기 기준 최고 연 8%의 금리를 주는 'BNK 아기천사 적금'을 출시했다. 기본금리 연 2%에 출산 관련 우대이율 최대 5.5%포인트(p), 실적 우대금리 0.5%p를 제공한다. 총 1만좌 한도로 모바일뱅킹 앱에서 연말까지 판매한다.


신한은행이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문제 극복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출시한 '패밀리 상생 적금'은 1년 만기 기준 최고 연 9%의 금리를 제공했다. 5만좌 한도로 출시돼 지난 2월 출시 3개월 만에 완판됐다. 신한은행은 지난달엔 초고령화 사회에서 상속·증여와 관련한 고객 니즈를 부응하기 위해 '신한 신탁라운지'도 개설했다. 전문직원이 신탁 상품들로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고, 법률·세무·부동산 전문가들과 종합자산관리 컨설팅까지 제공한다.


한화생명은 고령화 시대에 간병, 치매를 중점 보장하는 신상품 3종을 지난달 연이어 출시했다. '밸류플러스 보장보험'은 100세까지 보장받는 사망보험으로 장기요양 상태시 보장받을 수 있는 특약을 부가할 수 있다. 'The H 간병보험'은 간병비 지원금을 지급하며, '건강플러스 종신보험'은 암·뇌혈관·심장질환에 치매까지 보장을 더했다.


삼성화재는 지난 3월 '자녀사랑 할인 특약' 가입 대상을 업계 최대 수준으로 확대했다. 만 15세 이하 자녀가 있으면 보험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다자녀 가정의 경우 자녀 수에 따라 보험료를 추가 할인한다.


웰컴저축은행은 지난 10일 '웰컴(WELCOME) 아이사랑 정기적금'을 최고 연 10%의 금리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으로 리뉴얼해 출시했다. 기존에 만 10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가 가입할 수 있었으나, 리뉴얼로 만 16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 또는 만 16세 이하 자녀 본인 명의로 가입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정과 사회의 행복을 지키는 동반자로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