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롬 파월 연준의장(사진=EPA/연합)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오는 9월부터 미국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하할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인 가운데 시장 일각에서는 금리를 0.5%포인트 내리는 '빅 스텝'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채권투자자들은 미국 경제가 급격히 둔화해 연준이 예상보다 더욱 공격적으로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에 베팅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9월에 금리를 0.25%포인트, 0.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을 각각 85.8%, 13.8%의 확률로 반영하고 있다. 빅스텝 금리인하 가능성의 경우, 1주일 전까지만 해도 4.1%에 불과했다.
가능성이 낮지만 기업들과 소비자들의 고금리로 타격을 받고 있다는 증거가 나오자 0.5%포인트 금리인하 가능성이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5.25~5.50%로 약 20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인플레이션이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은 미국 노동시장의 균열이 더 깊어질 가능성에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7월 이후 후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인 9월 17~18일까지 남은 시간이 긴 점도 우려를 키우는 부분이다.
윌리엄 더들리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24일 “금리인하를 통해 경기침체를 막는 게 이미 너무 늦었을지도 모른다. 지금 인하를 주저하는 것은 불필요한 위험만 늘릴 것"이라면 7월 금리 인하를 주장한 바 있다. 더들리 전 총재의 이같은 발언이 나오면서 불안감이 새로운 단계로 올랐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블룸버그의 에드워드 해리슨 전략가는 “더들리의 7월 금리인하 주장로 분위기가 바꼈다"며 “모든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이 아닌 실업률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6월 미국 실업률은 4.1%로 2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오른 상황이다
알리안츠의 모하메드 엘에리언 수석 경제고문도 연준이 지나치게 높은 금리를 지나치게 오래 유지할 경우 실책이 될 것이라고 최근 경고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가 9월까지 더욱 둔화된 모습을 보인다면 9월에 빅스텝이 단행될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브랜디와인 글로벌투자운용의 잭 매킨타이어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노동시장이 더욱 둔화활 조짐을 보인다면 경제 상황이 나빠졌다는 것을 의미해 연준이 금리를 더 내릴 것으로 보는 게 더 타당하다"며 “어떤 금리인하 사이클이 될지 모른다"고 말했다.
MUFG의 조지 곤칼브스 미국 거시경제 전략 총괄은 “현재 데이터가 나오는 것을 감안하면 점진적 금리인하는 타당성이 떨어진다"며 “오래 기다릴 수록 나중에 더 크게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냇웨스트마켓의 미셸 지라드는 최근 실업·성장률·소비 관련 지표를 볼 때 연준이 행동에 나설 시급성이 줄어들었다면서 “연준은 패닉에 빠진 것처럼 보이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LH 메이어의 데렉 탕 이코노미스트도 “현재 거시적인 그림은 급격한 통화 완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연준 위원들은 금리를 매번 FOMC 회의마다 0.25%포인트씩 내리거나 분기별 0.5%포인트 인하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전례를 보면 닷컴버블 붕괴 당시인 2001년 초나 금융위기 당시인 2007년 9월 등의 시기에 0.5%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한 만큼, 연준이 0.25%포인트보다 더 금리를 내릴 경우 시장에서 심각한 신호로 받아들일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내달 2일 발표 예정인 미국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7월 실업률이 전월과 같은 4.1%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만약 실업률이 예상보다 더 높아질 경우 연준의 9월 빅스텝 인하론이 힘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