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7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공방 주고받은 이스라엘·헤즈볼라…중동 전면전 살얼음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8.26 13:47
TOPSHOT-ISRAEL-LEBANON-PALESTINIAN-CONFLICT-HEZBOLLAH-ATTACKS

▲25일 이스라엘 국경 상공서 요격되는 헤즈볼라 무인기(사진=AFP/연합)

이스라엘과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가 거센 무력 공방을 주고받은 것을 계기로 더 광범위한 전쟁으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25일(현지시간) 새벽 헤즈볼라의 공격 징후를 포착했다며 전투기 100여대를 동원해 레바논 내 헤즈볼라의 로켓·미사일 발사대 1000곳 등 표적을 선제타격했다.


그 직후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을 향해 로켓, 드론 등 약 320발을 발사하고, 지난달 30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암살당한 고위급 지휘관 푸아드 슈크르의 보복을 위한 '1단계' 공격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고 선언했다.


이스라엘은 이에 선제공격으로 헤즈볼라가 당초 발사하려던 로켓 가운데 절반 이상을 사전에 막았다고 밝혔다. 또 국경을 넘어온 헤즈볼라의 미사일이 210발, 드론은 20기에 불과하다며 이어진 공격을 효과적으로 저지했다고 설명했다.


수천기의 헤즈볼라의 로켓 발사대를 예방 차원에서 선제 타격했다는 이스라엘은 물론 이스라엘의 정보 및 군 시설을 조준했다는 헤즈볼라도 '작전 성공'이라는 자평과 함께 무력 충돌을 일단락짓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뉴욕타임스(NYT)는 무력 공방 이후 나온 헤즈볼라와 이스라엘 지도자의 발언을 소개하면서 양측이 신속하게 확전 방지 모드에 돌입했다는 전문가 진단을 전했다.


미국의 싱크탱크 워싱턴근동정책연구소의 에후드 야리 연구원은 “단계적인 상황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점진적인 확전도 예상할 수 있다"며 “이스라엘은 정보를 바탕으로 예방 차원에서 헤즈볼라를 선제공격했지만, 그 이상은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헤즈볼라도 이것으로 충분하다는 신호를 보내는 듯하다. 다만, 그들은 이번에 첫 단계의 보복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만약 이란이 청신호를 보낸다면 추가 보복을 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긴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스라엘 국가안보연구소의 대니 시트리노비치 연구원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그들은 전쟁 억제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확전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그러나 전면전이 벌어질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당분간은 모두가 만족할만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안방인 테헤란에서 이스마일 하니예 하마스 정치국장이 암살되는 수모를 겪은 이란의 '복수 예고'가 청산되지 않은 채 남아있기 때문에, 중동의 정세를 낙관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헤즈볼라가 군사력 영량을 크게 키운 점도 중동 정세를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미국 CNN방송은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자료 등을 인용해 1982년 창설될 때만 해도 오합지졸 수준이었던 헤즈볼라가 반이스라엘 무장 투쟁과 2006년 이스라엘과의 전쟁을 거치며 군사·정치적 역량을 크게 키웠다고 전했다.


헤즈볼라는 특히 2006년 이스라엘과 전쟁을 치른 이후 화력을 크게 늘렸다.


CNN은 헤즈볼라가 “(이스라엘 방공망) 플랫폼을 공격하고 드론과 단거리 미사일을 쏟아부어 다른 발사체가 이스라엘 영토 깊숙이 들어갈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이스라엘의 미사일 방어체계를 약화하려 노력했고, 어느 정도는 성공했다"고 평했다.


이 매체는 또 “이스라엘의 군사력에는 상대가 안 되지만 갈수록 정교해지는 헤즈볼라의 무기고가 이스라엘과 지역 내 동맹국들에 심각한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이스라엘과 헤즈볼라가 미사일 공방을 주고받으면서 전면전 발발 우려가 커진 상황 속에 가자지구 휴전 협상이 별다른 성과 없이 종료됐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이집트 소식통들을 인용해 협상 당사자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중재국들이 제시한 타협안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미국, 이집트, 카타르의 중재로 24∼25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휴전 협상을 벌였다.


양측이 모두 카이로로 협상 대표단을 보내면서 타결 기대감이 높아지기도 했지만, 이스라엘이 주장하고 있는 핵심 쟁점에 하마스가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협상은 또다시 교착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재개 시점에 대한 발표 또한 나오지 않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