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윤호

kyh81@ekn.kr

김윤호기자 기사모음




탄핵 표결 앞두고 트래픽 급증 대비…ICT 업계 대응 체계 강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06 14:04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자랜드 한 가전 매장에서 시민이 비상계엄 선포·해제 관련 보도를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자랜드 한 가전 매장에서 시민이 비상계엄 선포·해제 관련 보도를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이 예정된 가운데 정보통신기술(ICT) 업계가 트래픽 급증과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6일 ICT 업계에 따르면 플랫폼사들은 이번 탄핵 표결이 지난 3일 자정을 전후해 벌어진 비상계엄 사태와 같은 갑작스런 트래픽 증가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면서도, 비상 상황에 대비해 상시 모니터링 체계 등을 가동하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네이버는 시스템 안정화와 업무 연속성 계획을 통해 대비 중이다. 카카오는 서비스 안정성 모니터링을 강화해 장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통신 업계도 비상·재난 상황에 대비한 대응 체계를 갖추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사들은 트래픽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즉각적인 조치 준비를 하고 있다. 지난 계엄 선포 당시 통신망에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탄핵이 급물살을 타면 통신량이 대폭 증가해 특이사항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유사시 외부 세력의 사이버 공격 시도에 대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24시간 가동 중인 감시 체계 수위를 높이고 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전날 간부회의에서 통신 장애, 사이버 해킹 등에 대해 면밀하게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