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서울 정동 1928아트센터에서 열린 '2024 납품대금 연동 우수기업 포상 및 모범사례 발표회'에서 우수기업 및 공정거래 확립 유공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조폐공사는 납품대금연동제를 적극 추진하기 위해 협력사에 적극적으로 사업을 소개하는 등 제도 안착에 힘썼습니다. 연동제 덕분에 저희에게 원재료를 납품하는 기업이 2900만원 넘게 수혜를 보게 됐고, 이 성과로 이번에 모범 기업에 선정된 것 같습니다. 내년부터 전자조달시스템 내 납품대금연동제 관련 콘텐츠를 마련해 제도 확산에 나서겠습니다."(이희광 한국조폐공사 차장)
“LG이노텍은 제도 시행 이전부터 자체적으로 하도급대금연동제를 시행하고 있었기에, 납품대금연동제가 낯선 제도가 아니었습니다. 제도 확산을 위해 법무팀, 대외협력팀을 비롯한 유관부서를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팀을 마련했고, 협력사 대표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를 벌였습니다. 앞으로도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연동제 확산에 기여하겠습니다."(홍성은 LG이노텍 파트장)
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서울 정동 1928 아트센터에서 개최한 '2024 연동 우수기업 포상 및 모범사례 발표회'에서 모범 사례로 꼽힌 기업들은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를 납품대금연동제 안착의 핵심이라고 소개했다.
협력사 최고경영자(CEO)와 실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동제 교육이 연동계약 체결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설명이었다.
이희광 한국조폐공사 차장은 “1년에 10~20회 정도 협력사를 대상으로 연동제 지원사업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고, 필요하다면 우리 실무진이 직접 방문까지 해 설득하는 노력을 벌였다"고 설명했다.

▲9일 서울 정동 1928아트센터에서 열린 '2024 납품대금 연동 우수기업 포상 및 모범사례 발표회'에서 LG이노텍 관계자가 모범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희순 기자
홍성은 LG이노텍 파트장도 “매년 동반성장주간에 '동반성장아카데미'를 열어 협력사를 대상으로 연동제 교육을 하고 있다"면서 “협력사에 동반성장 가이드북을 제작해 배포했고, 연동제 확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협력사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며 차별화를 주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날 납품대금 연동 우수기업 포상식은 중소벤처기업부와 공정거래위원회가 연동제를 모범적으로 실천한 기업들을 포상하고 본보기가 될 만한 모범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제도 계도기간이 끝난 후 올해 초부터 전격 시행된 이후 두 번째로 마련된 행사였다.
이번에 뽑힌 연동 우수기업은 한국조폐공사·LG이노텍을 포함한 총 16개사이며, 공정거래 확립 유공자 7명도 중기부 표창을 받았다. 수상 기업들은 벌점 경감, 직권조사 면제,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 가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받는다.
김성섭 중기부 차관은 “연동제를 회피하려는 탈법행위를 비롯하여 연동제 위법행위에 엄정하게 대응할 방침"이라며 “우수기업들이 납품대금 연동제의 확산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맡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포상식 행사에 맞춰 연동제 적용에 있어 실무적인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질의응답서(FAQ) 보완본도 함께 배포했다. 보완본에는 연동제가 본격 시행된 올해 1월 초 발간한 이후 지난 1년간 사업자들이 자주 질의한 내용과 중기부의 답변들이 추가돼 있다.